DOI QR코드

DOI QR Code

반발경도법을 이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ength Estimation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sing Rebound Hardness Method

  • 박수화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 하정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 임석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 남경용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 정란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4.10.01
  • 심사 : 2014.11.12
  • 발행 : 2014.12.30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stimate the strength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by estim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its mock-up using a rock test hammer and provide reference data for an intensity estimation technique for ultra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future. According to test results, existing equations mainly used for strength estimation showed differences when the data from this test were applied. The equations appeared to underestimate the surveyed data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greater than 30MPa and other equations were also far off the range of surveyed data in all strength ranges. Furthermore, the rock test hammer showed higher correlation than N-type Schmidt hammer regardless of the hitting direction and the inclusion of coarse aggregate concerning W/B type, and mortar showed a little higher correlation than concrete. The measurement of rebound of the mock-up in relation to the inclusion of coarse aggregate showed that mortar's variation coefficient and standard devia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concrete, and the variation coefficient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and showed more accurate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상진 외,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부재 현장적용성을 위한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1, 제 27권 8호, p.p.105-112
  2. 김무한 외, "고강도영역 콘크리트의 경제적 개발과 그 실용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96, 제 12권 7호, p.p.313-324
  3. 日本コンクリート工学協会, "コンクリートの非破壊試験法-研究委員会報告書", 1992. 3
  4. 윤종기 외, "고강도콘크리트 강도추정식 제안 및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 제 22권, 2호, p.p.359-362
  5. 김영의, "비파괴 검사법에 의한 기존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 강도 추정", 충북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2004. 08
  6. 정일영, "콘크리트의 적절한 비파괴 시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93, 제 9권 8호, p.p.169-174
  7. 이성용, "실존 콘크리트 구조체의 코어강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06.
  8. 서윤아 외, "암반용 테스트 해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영역의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2, 제 28권, 11호, p.p.207-214
  9.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2011, p.p.500-502
  10.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시설물 안전진단장비의 사용 및 유지 관리 매뉴얼, 2011
  11. 한국콘크리트 진단기술 01(기초편), 일본콘크리트공학협회, 2001
  12.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 Ohmsha, 1996
  13. 대한주택공사 구조 토목 토질 연구부, "주택, 국내의 비파괴 시험 활용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2011, 제 70호, p.p.171-179
  14. A. Basu, A. Aydin, "A method for normalization of Schmidt hammer rebound val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 41, 2004
  15. 홍성욱, 조영상, "초음파 속도법 및 반발경도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모의부재 압축강도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1, 제 27권, 1호, p.p.19-26
  16.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2011, p.502
  17. 尹志善, 岩石岩盤의調査와試験, 歐美書, 1991, p.p.371-379, p.p. 483-492.
  18. 허진, 岩石力學, 機電研究社,1985, p.p.29-213
  19. 山口梅太郎, 西松裕一, 岩石力學入門, 東京大學出版會, 1991, p.p.252-254.
  20. Brown. E. T,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 Monitoring, ISRM Suggested Methods, Pergamon Press, 1981, p.p.101-102.
  21. Hoek. E and Bray. J. W, Rock Slope Engineering, 3rd edition,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1981, p.p.97-100.
  22. Kazimierz Thiel, Rock Mechanics in Hydroengineering, Polish Scientific Publishers, 1989, p.p.91-92.
  23. ASTM C 42-90, "Obtaining and Testing Drilled Cores and Sawed Beams of Concrete", ACI, 1981.
  24. KSF 2412, 콘크리트 코어의 길이 측정방법, KS 규정집, 2011
  25. KS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규정집,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