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Laws related to the Scope of Both Medical Doctors' Practice in Korea

한의사와 의사의 업무 범위와 관련된 법령 고찰

  • 박유리 (대한한의사협회 한의학글로벌센터) ;
  • 강연석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
  • 백경희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라세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14.11.30
  • Accepted : 2014.12.23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cope of practice of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based on laws related to medical practice Method : We searched for laws related to medical practice using terminologies such as "Korean Medical practice", "Korean Medicine",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western medicine", "Korean Medicine doctor", "western medicine doctor" at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http://law.go.kr/main.html). Results : We categorized the laws we found into four categories: diagnosis, treatment, prescription, and all the other areas including public health. In diagnosis, both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have a right to issue medical certificates including birth and death. However, diagnosis of a few specific diseases is allowed only to western medicine doctors. In treatment, laws related to emergency medicine and nursing at home were searched.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are emergency care providers; however, most of emergency medicine can be done by western medicine doctors. In prescription, the scope of practice is divided by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Finally, as public health professionals, both of them need to do lots of public health works. However, in some area such as vaccinatio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and industrial health, only western medicine doctors can practice.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in diagnosis, treatment, prescription, and all the other areas including public health, the scope of practice of Korean Medicine doctors and western medicine doctors has huge difference. There is also lack of consistency in current law, and some laws do not reflect current health care system and health care services.

Keywords

References

  1. 허일태. 죄형법정주의의 연혁과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법학논고. 2011:35:115-148.
  2. 류지태. 의료행위의 개념. 고려법학. 2002:39:61-88.
  3. 백경희, 장연화.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관한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2014:22:123-143.
  4. 백경희.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중첩에 관한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한국의료법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3:51-68.
  5. 곽명섭.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논의과정에 대한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07:7:65-81.
  6. 이백휴, 이평수, 박윤형. 의사와 한의사의 의료기기 상호 활용 가능성과 한계 - 소위 IMS 시술 관련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2011:19: 139-160.
  7. 범경철. 의료영역과 한방의료영역의 업무구분에 관한 고찰. 의생명과 법. 2009:2:49-100.
  8. 곽숙영.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례의 입장 고찰. 의료법학. 2014:15:59-80.
  9. 이미선, 김건형, 김재규, 이병렬, 양기영. 침구의료 행위의 의미에 관한 법학적 고찰: 판례 분석 중심의 접근. 대한침구학회지. 2011:28:19-27.
  10. 이부균. 한방의료행위의 개념요소와 유형에 관한 법적 고찰. 의료법학. 2012:13:263-284.
  11. 선정원. 의료직업의 규제. 행정법연구. 2010:26: 347-390.
  12.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main.html)
  13. 보건복지부. 의료법령 민원질의 회신사례집. 보건복지부. 2008.
  14. 박윤재.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한의사제도의 정립. 동방학지. 2011:154:345-376.
  15. 정기용. 해방 후 한의사 제도 정립 과정.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김나경. 의료의 철학과 법정책: 양방-한방의료의 경계설정과 무면허 의료행위의 규율. 법철학연구. 2010:13:165-194.
  17. 신현호.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논의과정에 대한고찰 지정토론문. 법과 정책연구. 2007:7:65-81.
  18. 이상돈. 의료법의 개혁방향. 고려법학. 2008:50: 267-295.
  19. 노태헌, 이숭덕. 의료행위에 관한 용어정리 및 판례분석. 의료법학. 2010:11:11-71.
  20. 심재우.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형사정책연구. 2007:18: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