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 적 : 방사선 치료 시 치료기법에 따라 피부에 흡수되는 선량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치료 기법에 따른 표면선량 및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조직등가물질로 구성된 팬톰(I'mRT, IBA)을 이용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한 후 치료계획시스템에 의해 인체의 흉벽과 같이 가상의 표적과 정상조직을 설정하였다. 총 5가지의 치료계획(Wedged Tangential technique, 4-field IMRT, 7-field IMRT, TOMO DIRECT, TOMO HELICAL)에 대해 6MV 광자선을 이용해 최적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흉벽의 표면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Gafchromic EBT3필름 이용하여 팬톰의 표면에 밀착 시킨 후 내측(0~4 cm), 중심측(4~12 cm), 외측(12~16 cm)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고,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팬톰 단면 사이에 필름을 삽입 후 측정하여 흉벽의 내측(3지점), 중심측(4지점), 외측(3지점)에 대해서 1~6 mm 깊이 별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흉벽의 표면선량 측정결과 처방선량 기준으로 TOMO DIRECT에서 47~70%로 가장 높게 측정 되었으며, 7-field IMRT의 경우 35~46%로 가장 낮은 선량을 보였다. 깊이에 따른 피부선량 측정결과 TOMO DIRECT와 TOMO HELICAL에서 다른 치료기법에 비해 1 mm, 2 mm, 5 mm깊이에서 처방선량의 75%, 80%, 90% 이상으로 모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선량이 측정 되었으며, 특히 TOMO DIRECT의 경우 접선인자 영향에 의해 중심 측의 1 mm, 2 mm깊이에서 처방선량의 80%, 90%이상의 선량이 측정 되었다. 결 론 :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치료 기법에 비해 TOMO DIRECT와 TOMO HELICAL에서 표면 및 피부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표면으로부터 1 mm깊이의 피부영역에서 75% 이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 할 수 있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for patients requiring postmastectomy radiation therapy(PMRT) with different treatment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acquired for the phantom(I'mRT, IBA) consisting of tissue equivalent material. Hypothetical chestwall and lung were outlined and modified. Five treatment techniques(Wedged Tangential; WT, 4-field IMRT, 7-field IMRT, TOMO DIRECT, TOMO HELICAL) were evaluated using only 6MV photon beam. GafChromic EBT3 film was used for dose measurements at the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Surface dose profiles around the phantom were obtained for each treatment technique. For superficial dose measurements, film were used inside the phantom and analyzed superficial region for depth from 1-6mm. Results : TOMO DIRECT showed the highest surface dose by 47~70% of prescribed dose, while 7-field IMRT showed the lowest by 35~46% of prescribed dose. For the WT, 4-field IMRT and 7-field IMRT, superficial dose were measured over 60%, 70%, and 80% for 1mm, 2mm, and 5mm depth, respectively. In case of TOMO DIRECT and TOMO HELICAL, over 75%, 80%, and 90% of prescribed dose was measured, respectively. Surface and superficial dose range were uniform in overall chestwall for the 7-field IMRT and TOMO HELICAL. In contrast, Because of the dose enhancement effect with oblique incidence, The dose wa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obliquely tangential angle for the WT and TOMO DIRECT. Conclusion : For PMRT, TOMO DIRECT and TOMO HELICAL deliver the higher surface and superficial doses than treatment techniques based linear accelerator. It showed adequate dose(over 75% of prescribed dose) at 1mm depth in skin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