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rtfolio Analysis on the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of the Sixth Basic Plan for Long Term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규전원구성 비교 연구

  • Kim, Juhan (Dept.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 Hanyang University) ;
  • Kim, Jinsoo (Dept.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 Hanyang University)
  • 김주한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 김진수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4.02.28
  • Accepted : 2014.12.04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Including the rolling black out in 2011, Korea has suffered from rapid increase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demand forecasting failure for last five years. In addition, because of the Fukushima disaster, high fuel prices, and introduction of new generation sources such as renewables, the uncertainty on a power supply strategy increases. Consequently, a stable power supply becomes the new agenda and a revisino of strategy for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is needed. In the light of this, we appraises the sixth basic plan for long term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considering the changes of foreign and domestic conditions. We also simulate a strategy for the new power generation sources using a portfolio analysis method. As results, a diversity of power generation sources will increase and the share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 will be surged on the assumptions of a cost reduction of renewable power sources and an increase of fuel costs. Particularly, on the range of a risk level(standard deviation) from 0.06 and 0.09, the efficient frontier has the most various power sources. Besides, the existing power plan is not efficient so that an improvement is needed. Lastly,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ity storage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to make a stable and efficient power supply condition.

우리나라는 2011년 발생한 순환정전사태를 비롯하여 지난 5년간 급격한 전력소비 증가, 수요 예측 실패에 따른 전력 수급난을 겪고 있다. 또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태와 국제 연료가격 상승, 기술 발전 및 적용 가능한 발전원 증가로 인해 발전 환경의 불확실성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 변화로 인해 안정적 전력공급에 대한 정책적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고 신규전원구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실제로 "민관 합동 워킹그룹" 에서는 에너지 기본계획 및 원전 비중 변화, 전원구성에 대한 시나리오 검토를 수행한 바 있다. 이러한 국내외 여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정책 제안 그리고 우리나라의 전력 설비를 고려하여 포트폴리오 이론을 적용, 신규 전원구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전원 구성 결과에 따르면 향후 신재생 발전원의 비용하락과 화석 연료 발전원의 비용이 증가할 경우 신재생 발전원의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발전믹스 내 발전원의 다양성이 증가 할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위험수준(표준편차) 0.06~0.09 사이에서 가장 다양한 발전원을 보유한 효율적 전원구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 밖에 기존 계획안은 효율적 곡선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위험 기준에서 보다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방법론과 상호 보완적으로 본 연구의 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원믹스 운영을 위해서는 신재생 발전원의 확충과 더불어 전력저장시스템, 에너지관리시스템과 같은 전력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영석.노동석.조상민, "에너지믹스 변화의 비용 추정: 신재생확대 시나리오," 에너지경제연구, 제10권, 제2호, 2011, pp. 169-186.
  2.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 및 RPS제도와 연계방안, 2006.
  3. 윤원철,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한 신규 전원 선택," 에너지경제연구, 제8권, 제1호, 2009, pp. 59-90.
  4. 에너지관리공단,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2012.
  5. 이유수,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한 전원믹스 계획의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기본 연구보고서, 12-07, 2012.
  6. 전력통계시스템, http://www.kpx.or.kr/epsis, 전력거래소.
  7. 정정현, 현대투자론, 법문사, 2011.
  8. 지식경제부,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2.
  9.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의 기준가격 지침, 2012.
  10. Awerburch, S., "Portfolio-Based Electricity Generation Planning: Implications for Renewables and Energy Security," REEEP, 2004.
  11. Beltran, H., "Modern Portfolio Theory applied to Electricity Generation Planning," Ingeniero, National Autonomous University of Mexico, 2005.
  12. Delarue, E., C. De Jonghen, R. Belmans, and W. D'haeseleer, "Applying Portfolio Theory to the Electricity Sector: Energy versus power," Energy Economics, Vol. 33, 2011, pp. 12-13.
  13. Gotham, D., K. Muthuramanm, R. Rardin, and S. Ruangpattana, "A Load Factor based Mean-Variance Analysis for Fuel Diversification," Energy Economics, Vol. 31, 2009, pp. 249-256.
  14. Markowitz, H., "Portfolio Selection," Journal of Finance, Vol. 7, 1952, pp. 77-91.
  15. Robert C. Merton,. "An Analytic Derivation of the Efficient Portfolio Frontier," The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Vol. 7, No. 4, 1972, pp. 1851-1872. https://doi.org/10.2307/2329621
  16. EIA, Annual Energy Outlook 2013 with Projections to 2040,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