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aptation Resilience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 Received : 2013.10.01
  • Accepted : 2013.11.13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The following research is based on a strengths perspective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adaptation resilience on parenting stress. The subject were 170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ttend pre-school and social welfare centers for early education.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order of dimensional scor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social resources, structuralization of personality, social achievement, personal strengths, perception of future, strength of family cohesion. 2) The parenting stress of the subjects came out to be lower than average scoring 2.71 out of 5. Dimensionally, grief of parents came out to be the highest. 3) Adaptation resilience and parenting stress for subjects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in adaptation resilience, the dimensions of perception of future, personal strengths, social resources came out to b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ing stress. 4) factors relating to the mother's adaptation resilience were more important than general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and predicting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강점관점을 토대로 학령 전 발달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적응유연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및 복지관에 다니는 학령 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이며, 수집된 자료 중 170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은 보통 수준 이상이었으며, 하위차원별 점수는 사회적 자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성격구조화, 사회적 성취, 개인의 강점, 미래에 대한 인식, 가족응집력의 순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71점으로 보통 이하였으며, 하위차원별로는 부모의 고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장애자녀 적응행동과 적응유연성 중 미래인식, 개인의 강점, 사회적 자원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이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넷째, 장애자녀 및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보다는 어머니의 적응유연성 관련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데 있어 더 중요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미경,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pp.39-50, 2011.
  2. 하수민, 윤종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0호, pp.191-200, 2002.
  3. 문혁준, "부모-자녀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아동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5-31, 2008.
  4.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 이영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제21권, 제4호, pp.41-61, 2009.
  6. 김선희, 박정윤, "취업모의 성격특성과 자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8호, pp.41-52,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8.041
  7. 이종신, 문혁준, "긍정심리 및 내외통제성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7-48, 2009.
  8. 김명원, 강민주,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8호, pp.25-35,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8.025
  9. 문송산, 발달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지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0. 김인옥, 이원령,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1호, pp.101-120, 2011.
  11. 오재연, 유구종,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5호, pp.73-94, 2007.
  12. 황혜원, 나윤정,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제17권, 제3호, pp.267-280, 2008.
  13. 안주선, 가족탄력성에 기반한 집단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김은서, 지적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어머니의 긍정적 인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김자경, 신서영,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그리고 가족탄력성에 대한 연구", 지적장애연구, 제14집, 제4호, pp.105-125, 2012.
  16. 최정주, 가족탄력성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양심영, 원일석, 정형원, 김성연, "발달 장애 가족의 정서적 역량 강화를 위한 기능성 모바일 게임 개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2호, pp.153-160, 2011.
  18. 오승아, 최선경, "13세 이하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CALS(생활적용기술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21-153, 2009.
  19. 이영희, 통합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황미옥, 자폐아동의 부적응 행동정도와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전영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2. 정영은, 채정호, "역경 극복의 새로운 개념, 리질리언스(Resilience)의 평가 척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49권, pp.50-57, 2010.
  23. A. S. Masten and N. Garmezy, "Risk,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In B. B. Lahey and A. E. Kadzin (Eds.), Advances in clinical psychology, Vol.8, pp.1-52, Plenum Press, 1985.
  24. A. S. Masten and M. J. Reed, Resiliences in development. In C. R. Snyder and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74-88,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5. 이경미, 취학전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6. 한은희, 자기인식 집단미술치료가 불안도가 높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7. 박영례, 자녀양육에서 어머니 플로어 경험의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M. Muslow, Y. M. Caldera, M. Pursley, A. Reifman, and A. C. Houston,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Vol.4, pp.944-956, 200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944.x
  29. 홍지연,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기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0. 장윤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행정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1. 양심영, 김유경, "학령 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시간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pp.75-91, 2013.
  32. 이윤주, 진미정,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제51권, 제2호, pp.229-239, 2013. https://doi.org/10.6115/khea.2013.51.2.229
  33. 강선경,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4권, 제2호, pp.7-35, 2002.
  34. 정청자, 장애아 가정의 긴장(스트레스)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35. J. R Fagan and D. Schor, "Mothers of children with spina bifidal factors related to maternal psychosocial function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63, No.1, pp.146-152, 1993. https://doi.org/10.1037/h0079400
  36. 유혜경, "서울 지역 장애아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7권, 제1호, pp.73-88, 2009.
  37. 유재연, 이준석, 신현기, 전병운, 고등영, 파라다이스 한국표준 적응행동검사, 재단법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2007.
  38. O. Hjemdal, O. Friborg, T. C. Stiles, J. H. Rosenvinge and M. Martinussen, "Resilience Predicting Psychiatric Symptoms: A Prospective study of protective factors and their role in adjustment to stressful lilfe event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13, pp.194-201, 2006. https://doi.org/10.1002/cpp.488
  39. R. R. Abidin,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40. 전혜인, "부모결연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능력강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제40권, 제1호, pp.267-280, 2005.
  41. M. M. Bristol, Maternal Coping with Autistic Children: The Effects of Child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University of Chapel Hill, USA, 1979.
  42. 정계숙, 노진형,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수준에 따른 모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인간발달연구, 제17권, 제1호, pp.285-300, 2010.
  43. 김미숙, 집단사회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4. J. M. Patterson, "Family resilience to the challenge of a child's disability," Pediatric Annals, Vol.20, No.9, pp.491-500, 1991. https://doi.org/10.3928/0090-4481-19910901-08
  45. 이정신, 최영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9-32, 2010.

Cited by

  1.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vol.12, pp.10,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