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포츠경기 영상기록물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Sports Moving Records

  • 장지원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 투고 : 2014.11.13
  • 심사 : 2014.12.09
  • 발행 : 2014.12.30

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 영상기록물의 효과적인 관리 검색 활용을 목적으로 다중개체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스포츠 영상기록이 가진 특성을 표현하고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포츠 경기, 경기 참여자, 영상기록, 기록관리업무의 네 가지 개체들을 선정하였으며, 각 개체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스포츠 인물 및 팀에 대한 용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인물과 팀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다중개체 모형과 메타데이터 요소들, 그리고 스포츠 인물 및 팀 전거레코드는 체육학과 교수들과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과의 면담을 통해서 검정되었고 수정, 확대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etadata schema for sports moving records based on a multiple entity model as an attempt to suggest an effective way to manage, retrieve, and utilize sports moving records. The multiple entity model consists of four entities - sports match, match contributors, moving records, and record management business - and metadata elements were developed for each entity. In addition, authority records for sports team and persons were created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erminology and provide rich contextual information. The suggested multiple entity model, metadata elements, and authority records for sports teams and persons were verified, modified, and expanded by a group of experts including a sports marketing expert and professors in the sports depar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09.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지침 NAK/A 12:2009(v1.0). (원내표준).(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9. National Archives of Korea's Authority Record Standard NAK/A 12:2009(v1.0).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Standard).)
  2.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K/S 8:2012(v2.0). (공공표준).(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2.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NAK/S 8:2012 (v2.0). (Public Standard).)
  3. 김정현. 2008. TV 광고자료의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125-146.(Kim, Jung-Hyun. 2008.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Element for TV Commercial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 125-146.)
  4. 김진아. 2001. 동영상 정보의 메타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18(4): 15-35.(Kim, Jin-A.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of Moving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4): 15-35.)
  5. 유상원, 이형동, 김형주. 2003.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XML문서 전달 시스템. 정보과학학회지, 9(5):487-497.(Yoo, Sang-Won, Hyung-Dong Lee, and Hyoung-Joo Kim. 2003. "A Personalized XML Documents Delivery System." Journal of KISS: Computing Practices, 9(5): 487-497.)
  6. 윤병건. 2005.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대의 방송과 스포츠. 파주: 한울.(Youn, Byung-gun. 2005. Sports and Broadcasting of Digital Multimedia Era. Paju: Hanul.)
  7. 이성숙, 송인석. 2005. NewsML을 고려한 기술동향정보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183-205.(Lee, Sung-Sook and In-Seok Song. 2005. "A Study on Metadata of Technology Trends Information Based on NewsM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183-205.) https://doi.org/10.4275/KSLIS.2005.39.3.183
  8. 이정재. 2004. 민속아카이브와 문화정책. 한국민속학, 40: 67-107.(Lee, Jung-Jae. 2004. "Police of Folklore and Folklore-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Folklore Society, 40: 67-107.)
  9. 이주연. 2010.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사례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193-214.(Lee, Ju-Yeon. 2010. "A Case Study on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193-214.)
  10. 이진경, 김희정. 2009. 방송 기록물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연구: MBC TV 프로그램 기록물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269-295.(Lee, Jin-Kyung and Hee-Jung Kim. 2009. "A Study of Metadata Element Design for Broadcasting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Case Study of MBC TV Program Rec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269-29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69
  11. 이현용. 2009. 스포츠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Lee, Hyun-Yong. 2009. A Study on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Sports Arch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12. 이해영. 2013. 기록조직론: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교육총서 1. 서울: 선인.(Lee, Hae-Young. 2013. Record Organizat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stitute of Education Series 1. Seoul: Seonin.)
  13. 천호준. 2007. 서울올림픽 기록물의 존재형태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29: 279-302.(Cheon, Ho-Jun. 2007. "A Study on the Shape of Existence of Seoul Olympic Record."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9: 279-302.)
  14. 천호준, 김주학. 2008. 스포츠 아카이브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체육과학연구, 19(3): 140-151.(Cheon, Ho-Jun and Joo-Hak Kim. 2008. "A Basic Study for the Foundation of Sports Archiv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9(3): 140-151.)
  15. 천호준, 인상우, 나영일. 2007. 근대 스포츠 기록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고찰. 스포츠과학리뷰, 1(1):31-40.(Cheon, Ho-Jun, Sang-woo In, and Young-Il Na. 2007. "The Type and Feature of Sport Records in the Korea Modern Era: A Critical Review." Sports Science Review, 1(1): 31-40.)
  16. 최송화. 2008. 스포츠 영상 아카이브 구축 방안: 올림픽 영상 기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스포츠기록분석 전공.(Choi, Song-Hwa. 200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ports Visual Archive: Focused on the Olympic Visual Reco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of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of Sports Recording Analysis.)
  17. Cashman, Richard. 1998. "Olympic Legacy in an Olympic City: Monuments, Museums and Memory."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Olympic Research, October, 107-114.
  18. 서울올림픽 자료실 [online]. [cited 2014.6.19]. .
  19. National Baseball Hall of Fame and Museum [online]. [cited 2014.6.19]. .
  20. Olympic.org [online]. [cited 2014.6.19]. .
  21. PBcore [online]. [cited 2014.6.19]. .
  22. SportsML [online]. [cited 2014.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