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Perception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 김두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대학원) ;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 투고 : 2014.11.20
  • 심사 : 2014.12.12
  • 발행 : 2014.12.30

초록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 기록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에서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들의 기록관에 대한 인식, 이용현황, 직원에 대한 평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47명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와 기록연구사와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의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user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abou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The study uses the Researcher Survey provided by the Archival Metrics Project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s about the university archive and users' satisfaction level of facilities and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mong 47 users and the interview with the archivist working in the university archive, this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archival reference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천 (1996). 대학의 변화: 그 도전과 대응. 현상과 인식, 69, 35-55.(Kang, Hee-Chun (1996). Changes of the university: The challenge and response. Phenomenon and Awareness, 69, 35-55.)
  2. 김건, 김수정, 윤은하, 한희정 (2013).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의 동향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99-22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99(Kim, Gun, Kim, Soo-Jung, Yoon, Eun-Ha, & Han, Hee-Jung (2013). Research trend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199-229.)
  3. 김지현 (20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68-187.(Kim, Ji-hyun (2012).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reference servic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168-187.)
  4. 김현지, 이해영 (2009).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59-78.(Kim, Hyun-Jee, & Rieh, Hae-Young (2009).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59-78.)
  5. 서은경, 손주영 (2012). 국내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1), 351-374.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351(Seo, Eun-Gyoung, & Son, Ju-Young (2012). Meta analysis of the websites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9(1), 351-374.)
  6. 이혜경, 이해영 (2014).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현황과 발전방향: 실무자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연구, 40, 131-180.(Lee, Hye-kung, & Rieh, Hae-Young (2014).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university archives'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archives' staff. The Korean Journal of the Archive Studies, 40, 131-180.)
  7. 하은미, 이수상 (2007).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139-164.(Ha, Eun-Mi, & Lee, Soo-Sang (2007). A study on the online finding aids of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139-164.)
  8.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2009). 2009년 상반기 대학기록관리 콜로키움자료집.(University Archives Records Center (2009). Proceedings of the 2009 spring colloquium on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9. Archival Metrics (2014, July). Archival Metrics. Retrieved from http://www.archivalmetrics.org/
  10. Samuels, Helen Willa (1992). Varsity letters: documenting modern colleges and universities. Chicago: Scarecrow Press.

피인용 문헌

  1. A Study of Three Dimensional DSM Development using Self-Developed Drone vol.39, pp.1,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