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ist Air Density Calculation for Air Condition

공기 상태량에 대한 습공기 밀도 계산

  • 김종우 (한라비스테온공조(주) 연구본부)
  • Received : 2014.05.14
  • Accepted : 2014.08.05
  • Published : 2014.09.01

Abstract

Generally the lower part of the Earth's atmosphere, which is 20km above the ground, is called "air." The composition of this area is almost consistent consisting of nitrogen, oxygen, and other gases. Air density refers to the mass per unit volume of earth atmosphere. Though air is made of the mixed gases in a constant composition, the water vapor is one of the very changeable components. The density of moist air is lower than the dry one at the same temperature and pressure. As the density varies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ain factors in the air quantity calculation by examining first the density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ir property, and second the relation between the actual and standard air flow.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하층 부분을 구성하는 기체를 보통 공기라 말한다. 지상 20km 이하에서는 그 성분이 거의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며, 질소, 산소, 기타 혼합기체로 구성된다. 공기밀도란 단위 부피 중에 포함된 공기의 질량을 말한다. 공기는 거의 일정한 성분으로 조성된 혼합기체이지만, 수증기는 변동이 큰 성분의 하나이다.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는 습공기의 밀도가 건공기의 밀도보다 작다. 보통 밀도는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풍량 계산에 사용되는 중요 인자인 공기 상태량에 따른 밀도 계산과정과 actual air flow 와 standard air flow 의 관계를 살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SHRAE STANDARD, 1987 With Minor Editorial Changes, ANSI/ASHRAE 41, 2-1987 (RA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