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과 노동시장 성과 관계 :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Height and Labor Market Outcome: Evidence from Panel Data

  • Cho, Hyunkuk (Department of Applied Economics, University of Minnesota)
  • 투고 : 2014.04.15
  • 심사 : 2014.06.07
  • 발행 : 2014.06.30

초록

신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문헌은 신장 프리미엄이 존재함을 보이면서도 능력을 통제하면 신장 프리미엄이 줄어든다고 하였다. 이는 신장 효과 추정 시 능력 변수를 적절히 통제하지 않으면 신장 효과가 과대 추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문헌 최초로 개인고정효과(FE) 모델을 사용하여 신장 효과를 추정한다. 최소자승법(OLS)으로 분석 시 키가 큰 남학생이 리더 포지션을 획득할 확률이 유의적으로 높으나, 개인고정효과를 통제하면 둘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다. 여학생은 OLS, FE 모두 신장 프리미엄이 나타나지 않는다.

Previous studies show that tall people have better labor market outcomes, but controlling for their abilities reduces the size of height effects. This implies that a failure to properly control for one's ability could overestimate the OLS estimat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being the first to control for individual fixed effects (FE) and to examine heigh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one's attaining a leadership position. The data used are panel data of a cohort obtained during the cohort's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In OLS estimation, this paper finds positive height effects for boys. However, when controlling for individual fixed effects, the estimat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girls, the height effects are found on neither OLS nor FE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