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ound Measurement of Coracohumeral Distance in Patients with or without Subcoracoid Impingement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유무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상완오구돌기 계측

  • Jang, Suk 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
  • Kim, Sang Bum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 장석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상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racohumeral distance (CHD) in patients with or without subcoracoid impingement with hypothesis that patients with subcoracoid impingement would have narrower CHD.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four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were evaluated. The subjects with subcoracoid impingement which was affirmed clinically and confirmed by ultrasound guided subcoracoid injection (n=28) w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only (n=96). Patients with stiffness and rotator cuff tear were excluded. Absolute CHD was measur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xial images and on ultrasound with the humerus in neutral position and internal rotation. Also relative ratio of distance difference (RRDD)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CHD in neutral position and internal rotation compared with absolute CHD in neutral on ultrasound was also measured. Results: The distance measured in neutral position was similar between US imaging and MRI (p>0.05) and both measurement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On ultrasound, the difference in CHD in internal ro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nearly met the level of significance (p=0.07).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HD difference in two humeral positions was see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RRDD valu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ubcoracoid impingement group (p<0.05).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HD was seen between the subcoracoid impinge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RDD value was greater in subcoracoid impingement group suggesting that individualized coracohumeral distance in internal rot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subcoracoid impingement.

목적: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전방 견관절 통증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이 되는 영상학적 진단 기준이 없다. 본 연구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군에서 상완-오구돌기간의 거리(CHD)가 좁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유무에 따른 상완-오구돌기간 거리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하 충돌증후군 환자 124명을 분석하였다. 이학적 검사 및 초음파를 이용한 오구돌기하 주사 검사를 통하여 확진 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의 환자군(n=28)을 견봉하 충돌증후군만 있는 군(n=96)과 비교하였다. 견관절의 강직이나, 회전근개 파열이 있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상완-오구돌기간의 절대적 거리는 초음파의 내회전과 중립위 자세 및 자기공명 횡단면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내회전과 중립위의 상완-오구돌기간 거리의 차이와, 중립위의 상완-오구돌기간 절대적 거리와의 비율로 정의된 거리 차이의 상대적 비율(relative ratio of distance difference;RRDD)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중립위의 거리는 초음파 영상과 자기공명영상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고(p>0.05), 두 측정값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초음파영상을 통해 측정한 두 군간의 중립위 거리 차이는 유의수준에 가까웠다(p=0.07). 상완의 위치에 따른 상완-오구돌기간 거리의 차이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하지만, RRDD 값은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5). 결론: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상완-오구돌기간 거리 차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RDD값은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환자군에서 더 높았으며, 따라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개인의 내회 전시 상완-오구돌기간 상대적 거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