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r's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Retro Content Trend: A Case Study on the Answer me 1994

Retro(복고) 콘텐츠 트렌드(Trend)를 통해 살펴본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연구: <응답하라 1994>를 중심으로

  •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 김태양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Received : 2014.03.03
  • Accepted : 2014.03.21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Recently, the retro content emerges one of the highest topics in the cultural content area. This retro content has been exponentially expanded through the series of and the success of the ser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tent that can cause user's emotional experience. Along the line, this research tries to know how the retro contents draw user's emotional experience beyond the role of just user's recall for the past through the Answer me 1994 syndrome. As the result of factorial analysis for the user's emotional experience, five factories were classified: the emotional experiences by music, item, sensory, story and actors exposed in the drama. Also, the five emotional experience factories influence the relations between the viewers and retro content. Specifically, the factories for the emotional experi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viewer's satisfaction. The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viewer's trust and attachment for the retro content as well. The influence for the emotional experience factors which affect to viewer's satisfaction are music, item, sensory, story, and actors in order. The influence on the trust about the retro content are music, sensory, story, item i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al experience by actor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 to the trust for the retro content. Lastly, The influence for the attachment about the retro content are music, item, actors, sensory, and story in order.

최근 문화콘텐츠의 최고 화두는 복고이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환경은 콘텐츠 시장에 다양성과 창의성이라는 혜택과 과제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최근 레트로 문화는 '응답하라' 시리즈물을 통하여 폭발적으로 확장되었으며 '응답하라'시리즈물의 성공은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응답하라 1994>신드롬을 통하여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이해하고 레트로 콘텐츠가 단순한 과거회상의 역할을 넘어 어떻게 현재에 재서사화 되어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이끌어 내는지 고찰한다. <응답하라 1994>를 통한 시청자들의 감성적 경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5가지 감성적 경험 요인들은 시청자와 레트로 콘텐츠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청자 만족, 레트로 콘텐츠에 대한 신뢰, 레트로 콘텐츠 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아이템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고, 레트로 콘텐츠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적 경험의 요인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 그리고 아이템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등장배우로 인한 감성적 경험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레트로 콘텐츠 애착에 미치는 감성적 경험의 차원별 영향력은 음악적 감성경험, 아이템 감성경험, 등장배우로 인한 감성경험, 감각적 경험, 스토리적 감성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트로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에 기반을 둔 문화 콘텐츠의 생산 및 확산이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형성 및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감성적 경험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환경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2, 2012.
  2. 국중철, 리메이크 현상을 통해 본 영상콘텐츠 산업의 특성 연구 : 국내에 리메이크되어 방영된 日本 드라마 사례분석 연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 김명은,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4. 김민경, 사용자 경험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브랜드자산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제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권혜진, 김수정, "레트로에 나타난 시대적 표현 연구: 패턴 디자인의 모티브와 구조화 방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4호, pp.3-14, 2012.
  6. 박혜원, 이미숙, "레트로(Retro) 패션의 특성과 문화산업적 의미 연구. 복식", 제52권, 제3호, pp.171-187, 2002.
  7. 배희정, 혼합현실을 활용한 텔레비젼 시청 경험확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http://www.bizwatch.co.kr/?smode=referer&uid=5037&datatype=
  9. 수밍,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여명, 김지홍, "흑백영상의 부분 색채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322-326, 2006.
  11. 이명기, "레트로디자인 동향 고찰", 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4호, pp.53-97, 2000.
  12. 이은숙, 구매에 영향을 주는 가이드 경험을 활용한 TV 서비스 기획방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13. 이은숙, 김새봄, "현대 레트로 패션에서의 히피스타일의 듀얼리줌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11권, 제2호, pp.213-253, 2002.
  14. 유명환,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185-19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185
  15. 장희숙,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에 관한 연구: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16. 정시화, 산업디자인 150년, 미진사, 1997.
  17. 최창원, 소비자 구매단계에 따른 브랜드 경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박사학위 논문, 2005,
  18. J. Aaker, S. Foumier, and S. A. Brasel, "When Good Brand Do Ba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1, No.6, pp.62-83, 2004.
  19. E. W. Anderson, C. Fomell, and D. R. Lehmann, "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7, pp.98-117, 1994. https://doi.org/10.2307/1252254
  20. A. Cha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5, No.4, pp.35-77, 2001. https://doi.org/10.1509/jmkg.65.2.35.18252
  21. B. Dermody and T. Breathnach, New retro:classic graphics, today's designs, Thames & Hudson, 2010.
  22. M. P. Gardner, "Does Attitude Toward the Ad Affect Brand Attitude under a Brand Evaluation Se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2, No.5, pp.192-198, 1985. https://doi.org/10.2307/3151364
  23. M. Hassenzahl and N. Tractinsky, "User experience-a research agenda,"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25, No.2, pp.91-97, 2006. https://doi.org/10.1080/01449290500330331
  24. H. Li, T. Daugherty, and F. Biocca, "Characteristics of virtual experience in electronic commerce: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5, No.3, pp.13-30, 2001. https://doi.org/10.1002/dir.1013
  25.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3, 1994.
  26. R. L. Oliver,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2, pp.418-430, 1993. https://doi.org/10.1086/209358
  27. B. Schmitt,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15, No.1-3, pp.53-67, 1999.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496
  28. Schmitt and H. Bernd,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a revolutionary approach to connecting with your customers. John Wiley & Sons, 1999.
  29. D. Shin, "User experience in social commerce:In friends we trust," Behavior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32, No.1, pp.52-67, 2013. https://doi.org/10.1080/0144929X.2012.69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