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tal Body Irradiation of Childhood Leukemia dose Evaluation due to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Tissue Compensators

소아백혈병의 전신방사선조사 시 조직보상체의 두께변화에 따른 선량평가

  • 이동연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동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4.01.14
  • Accepted : 2014.03.12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otal body irradiation use one of the pre-treatment a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he treatment of leukemia. According to the study of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2013 report, continue to increase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owever, the current dose evaluation fall short before treatment. So purpose of this study is Surface dose and deep organ dose evaluation and then find the most ideal conditions when change of the thickness on tissue compensator in TBI. Result, surface dose in 4 MV, SSD 280 cm, compensators thickness 0.5 cm, was measured the highest dose 5.84 mGy/min. And the ideal dose showed when compensator thickness less than 1 cm.

전신방사선조사(Total Body Irradiation; TBI)는 백혈병의 치료방법 중의 하나인 조혈모세포 이식법의 전처치로 쓰인다. 2013년 장기이식관리센터 자료에 의하면 조혈모세포이식법의 건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현재 TBI 시행하기에 앞서 선량에 대한 평가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소아의 경우 방사선감수성이 민감하기 때문에 TBI 시행 전 정확한 선량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TBI 시행 시 사용되는 조직보상체의 두께의 변화에 따라 표면선량과 심부장기선량에 대하여 선량평가를 한 후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면선량은 에너지 4 MV, SSD 280 cm, 조직보상체의 두께가 0.5 cm일 때 5.84 mGy/min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보상체의 두께가 1 cm 이하였을 때 TBI에서 가장 이상적인 선량분포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2012 장기이식 통계연보, 2013
  2. S. H. Kim and I. Y. Yu, Identification of symtoms by treatment phases in children with leukemia,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2009.
  3. S. J. Kim, D. G. Han, and H. J. Baek, "Comparison of Total Body Irradiation (TBI) or Non-TBI as conditioning Regimen for Stem Cell Transplanation (SCT) in Pediatric Leukemia patient," Korean Jounal of Pediatrics, Vol.53, No.4, pp.538-547, 2010. https://doi.org/10.3345/kjp.2010.53.4.538
  4. 이정근, 장성주, 장영일, "소아 CT 촬영시 방사선 피폭과 저감화 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pp.356-36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56
  5. Faiz M. Khan,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Four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ub, 2003.
  6. 김상태, "영․유아의 입사피부선량 측정을 위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pp.346-35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46
  7.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User's manual version 2.5.0, 2005
  8. 최보열, 원전 내 고방사능 입자의 피부오염에 대한 선량 평가,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9. 나정현, 소듐냉각고속로 핵설계 방법론의 타당성 평가 연구,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10. M. Cristy, Mathematical phantoms representing children of various ages for use in estimates of internal dose,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USA, 1980
  11. 김정훈, 한국 표준인의 갑상선을 선원영역으로 한 방사선 옥소의 S-Value 및 체내잔류시간 연구,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12. E. Y. Han, Wesley E. Bolch, and Keith F. Eckerman, "Revisions to the ORNL serise of adult and pediatric computational phantoms for use with the MIRD schema," University of Florida Health Phys, Vol.90, pp.337-356, 2006.
  13. "ICRP Publication 89, Basic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Data for Use in Radiological Protection Reference Values," Ann. ICRP 32 (3-4), Elsevier Publishing Company, 2002. https://doi.org/10.1016/S0146-6453(02)00020-9
  14. "ICRU Report NO. 46, Photon, electron, proton and neutron interaction data for body tissues", Oxford Vniv. Pr. UK, 1992.
  15. 최종환, 김종식, 최지민, "전신방사선조사시 Beam Spoiler와 환자 간의 거리에 관한 고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9, No.1, pp.51-54, 2007.

Cited by

  1. The Study of Dosimet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Beam Spoiler on Total Body Irradiation vol.8, pp.5, 2014, https://doi.org/10.7742/jksr.2014.8.5.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