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The Applicability of the Drake Model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Drake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Received : 2014.03.31
  • Accepted : 2014.04.22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perspective. To this end, the study analysed the Ontario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based on a Drake's Integration Model which is typical model of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to Science Gifted Academy in Korea. Through showing the possibility of enrichment on the selected majors, integ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nd solving the future problems by the integrated curriculum centered on 'Big Idea', the Ontario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gave suggestions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in or through individual research and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The application of the Ontario's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tudies" to "Information Science" in Science Gifted Academy in Korea could be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the Drake's Integration model is applied to the Gifted by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navigation network, KDB(Knowledge-Do-Be) umbrella, and the final interdisciplinary task. From this result, we could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should be considered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for the Gifted, the plan of evaluation to demonstrate big understanding and big idea, the integ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or real-world problem, as well as the need of teachers council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based on the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be utilized in Science Gifted Academy.

본 연구에서는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으로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의 대표적인 모형인 Drak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온타리오 주의 사례는 학교 교육과정 내에 '큰 아이디어(Big Idea)'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선택된 전공과정의 심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과의 통합시도, 미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합 적용 등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교과과정 내에서 또는 개인별 심화연구까지 통합을 통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Drake 모형에 기반한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온타리오 주의 '정보학 개론' 과목을 국내 과학영재학교의 유사과목인 '정보과학' 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Drake 모형의 탐색 망, KDB 우산, 최종 과제 만들기 단계를 차별화하면 과학영재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과목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재들이 학습해야 할 학습 목표, 이해를 보여줄 평가계획, 타학문 또는 실세계 문제와의 통합 경험제공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자 (2010). 초등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23(2), 121-151.
  3. 김경자, 온정덕 (2011). 이해중심 교육과정. 서울: 교육아카데미.
  4.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981-1001.
  5. 성은현,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2010). 융합형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교육-과학과 예술의 만남 중등편-.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6. 우정희, 유미현 (2013).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82-95.
  7. 이경진, 김경자 (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219-245.
  8. 이신동, 홍종선 (2008).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7(2), 39-73.
  9. 이영만, 홍영기 (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0. 이재분, 서예원, 정영옥, 강병직, 이미경 (2012).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 방안 연구(RR2012-0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이재호 (2011).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3),459-467.
  12.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6(1), 123-130.
  13. 전우천 (2012).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과학회지, 30(3), 17-23.
  14. 정현철, 채유정, 류춘렬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597-617.
  15. 최병연 (2013).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영재의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1), 163-188.
  16.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17. 한국교육개발원 (2012). 제2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융합인재교육(STEAM) 심화연수 합숙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국과학영재학교 2013 학교교육계획 (2013). 고려문화사.
  19. 2013 서울과학고등학교 학교교육계획 (2013). 성균문화사.
  20. 2013학년도 학교교육계획서 (2013년). 경기과학고등학교.
  21. 온타리오 주 교육청 홈페이지. http://www.edu.gov.on.ca/eng/ (검색일: 2013.11. 4).
  22. 오타와 카톨릭 지역학교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ocsb.ca/ (검색일: 2013.11. 4)
  23. 토론토 지역학교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dsb.on.ca/ (검색일: 2013. 11. 4)
  24. Drake, S. M. (1991). How Our Team Dissolved the Boundaries. Educational Leadership, 49(2), 21-22.
  25. Drake, S. M. (2007).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Thousand Oaks, CA:Corwin press.
  26. Drake, S. M. (2013).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평가의 기초 [유제순, 장인한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본출간년도: 2007).
  27. Fogarty, R. (1991).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Pallantine, IL: Skylight.
  28. Grossman, P., Wineburg, S., & Beers, S. (2000). When theory meets practice in the world of school.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1-16).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9. Kliebard, H. M. (1995).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2nd ed.). New York: Routledge.
  30. Mansilla, V. B., Miller, W. C., & Gardner, H. (2000). On disciplinary lenses and interdisciplinary work.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17-3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McTighe, J., & Wiggins, G. (2004). Understanding by design: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2.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2).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1 and 12:Interdisciplinary Studies. Toronto,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33. Public and Catholic District School Board Writing Partnerships. (2003). Interdisciplinary Studies: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tudies. Ontario: Public and Catholic District School Board.
  34. Tanner, L. N. (1997). Dewey's laboratory school: Lessons for toda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 Van Tassel-Baska, J. (1998).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3rd ed.). Denver, CO: Love Publishing Company.
  36. Van 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6).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7. Ward, V. (1961). Educating the gifted: An axiomatic approach. Columbus, OH: Mer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