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국 테네시 주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The Implications of a Study on the Programs from Vanderbilt Programs for Talented Youth for the Korean Gifted Education

  • 투고 : 2014.04.02
  • 심사 : 2014.04.15
  • 발행 : 2014.04.30

초록

이 연구는 미국 테네시 주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학생, 교원, 그리고 학부모 관점에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 홈페이지,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에서 제공한 최신 자료,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 소장과의 면담, 그리고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 또는 관찰함으로써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과 관련하여서는 조기영재선발, 인문학 기반의 간학문적 교육과정, 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별화학습계획 정보, 교원과 관련하여서는 맞춤형 영재교육 담당교원 연수와 영재교육 담당교원 자격을 인증해주는 프로그램, 그리고 학부모와 관련하여서는 영재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영재 학부모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suggestions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spectively, to develop effectiv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by examining the programs from Vanderbilt Programs for Talented Youth (PTY) at Tennessee in the USA. The method is based on the analyses of PTY web pages, recent materials on programs from PTY, interviews with the executive director of PTY, participation in the endorsement program, and observation in SAVY(Saturday Academy at Vanderbilt for the You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as follows: in respect to students, early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interdisciplinary humanities curriculums,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and information of individual learning plans are essential; in regards to teachers, tailored gifted teacher programs and gifted endorsement programs are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parents, programs for supporting parents' groups with professional gifted educators are indispensi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진, 차인숙, 김성연 (2009).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 비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2(1), 79-106.
  2. 강호감, 진석언, 최선영, 하종덕 (2010).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격 인증에 관한 정책 기획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3.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부.
  4. 교육인적자원부 (2002).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교육통계연구센터 (2013).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구자억, 김홍원, 박성익, 안미숙, 이순주, 조석희 (2002).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영재교육-미국의 영재교육. 서울: 과학교육사.
  8. 김미숙, 이미경, 강병직, 김영아, 김인순, 박지은, 서예원, 유경재, 이희현, 전경남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표준 정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김소연 (2007). 초등학교 영어 . 과학 통합 영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0. 김수환 (2000). 미국의 영재교육 실태 조사 연구. 수학교육학술지. 5, 1-19.
  11. 김이경 (2011). 미국 테네시 부가가치 교사평가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시사점.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237-256.
  12. 김정 (2012). 세계 수학 영재교육 현장을 찾아서. 수학동아, 28, 151-156.
  13. 김정원, 이기숙 (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3), 183-197.
  14. 김정희 (2004).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5.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1970-2006.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6. 김홍원 (2003). 영재의 판별. 박성익 외. 영재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7. 김희진 (2014). 영재 담당교사의 자질을 중심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 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8. 류지영 (2005). 미국 영재교원 양성체제가 한국 영재교원 양성체제에 주는 시사.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69-88.
  19. 류지춘, 이신동 (2012). 미국, 영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한국의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임용 및 후속지원에 대한 동향과 교육적 시사. 영재와 영재교육, 11(1), 5-34.
  20. 민보경 (2010). 중학교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용구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22. 박성선 (2010). 미국 퍼듀대학교 영재교육센터의 영재교육.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2), 57-66.
  23.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4. 배남주, 여성희 (2004). 과학 영재성 판별 및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설 영재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32(3), 247-255.
  25. 성혜경 (2003). 한국과 미국의 수학 영재교육에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6. 손옥 (2001). 한국과 미국의 과학영재교육센터 현황 연구: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의 과학영재교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7.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김누리, 성은현 (2009). 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영재와 영재교육, 8(1), 49-68.
  28. 윤여홍 (2002). 유아 영재의 판별과 창의적 문제해결 신장을 위한 교육. 한국영재학회,
  29. 윤홍주 (2010). 부가가치 평가의 특징 및 우리나라 교사평가에 대한 적용가능성 검토. 초등교육연구, 23(4), 135-156.
  30. 이경화(2006).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영재와 영재교육, 5(1), 63-88.
  31. 이경화(2009). 인지 . 창의 . 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영재와 영재교육, 8(3), 23-41.
  32. 이경화, 정혜영 (2004). 유아 영재성 확인을 위한 부모용 평정척도의 타당화. 유아교육논총, 13(2), 77-97.
  33. 이광현 (2011). 미국의 학업성취도 평가 현황 및 활용 방안 연구. 비교교육연구, 21(4), 81-105.
  34. 이면우 (2006). 미국 퍼듀 대학의 영재교사교육, 교육연구, 24(1), 89-106.
  35.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8).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 연수, 배치에 대한 기준 설정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1), 73-93.
  36. 이신동, 홍종선 (2008).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7(2), 39-73.
  37. 이영희, (2004). 미국 수학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3(3), 243-258.
  38. 이채호, 최인수 (2012).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2(2), 483-497.
  39. 임근광, 강순자, 정인철 (2008). 삼부심화학습 프로그램 개발, 적용을 통한 연구기능 신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483-512.
  40. 임영은 (2008). 우리나라와 미국, 이스라엘 영재교육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1. 장혜원 (2012). 미국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미주리 주 콜롬비아 시의 EEE.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185-202.
  42. 전명남 (2011). 독서와 글쓰기 영역의 인문사회 영재 교육과 방향 탐색. 독서학연구, 27,195-208.
  43. 전선미, 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 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수학교육논문집,25(1), 79-97.
  44. 정영수 (1984). 한국교육 정책의 이념(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5. 조용태 (2001). 유아 영재진단 평가 체제. 교육논총, 4, 35-58.
  46. 최민아 (2012). 통합과정모형을 적용한 음악과 공연의 통합음악영재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47. 최유현 (2007). 발명영재양성체계 구축 및 발명영재고등학교 설비 타당성 검토. 대전: 특허청.
  48. 최은지 (2007). 각 국의 수학영재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9.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50. 특수교육학회 (1995). 한국 특수교육 백년사.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51. 한국교육신문사 (2005). 한국교육연감. 서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육신문사.
  52. 한기순 (2005).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담론-영재교육 그 안이 궁금하다?: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담론. 영재와 영재교육, 4(2), 5-29.
  53.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54. 한석실 (2005).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5-56.
  55. 한수연, 신기현, 이영준, 장대익 (2009). 기초사고력과 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예술-과학 연계형 교육프로그램의 논리와 구조. 문화체육관광부.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56. 황규호(1999). 교원양성 . 연수교육체제 개선방안. 교육부교원양성 . 연수체제개선연구위원회.
  57. Alomar, B. O. (2003). Parental involvement in the schooling of children.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18, 95-100.
  58. Barbour, N. B. (1992).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A collaborative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5, 145-164.
  59. Baron, C. M. (2014). Center for gifted education hosts students from Korea. Retrieved from http://education.wm.edu/news/news-archive/2014/g-e-korea.php.
  60.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NY: Ballantine Books.
  61. DITD (2014). Gifted Education Policies. Retrieved from www.davidsongifted.org/db/StatePolocy. aspx.
  62. Eckert, J., & Dabrowski, J. (2010). Should value-added measures be used for performance pay? KAPPAN, 91(8), 88-92.
  63. Evans, J. St. B. T. (2003). In two minds: dual-process accounts of reasoning. Trends in Cognitive Science, 7(10), 454-459. https://doi.org/10.1016/j.tics.2003.08.012
  64. Evans, E. M., Schweingruber, H., & Stevenson, H. W. (2002). Gender differences in interest and knowledge acquisitio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Japan.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47(3/4), 158-168.
  65. Gogel, E. M., McCumsey, J., & Hewett, G. (1985). What parents are saying. G/C/T, Issue 41, 7-9.
  66. Graffam, B. (2006). A case study of teachers of gifted learners: Moving from prescribed practice to described practitioners. Gifted Child Quarterly, 50, 119-131. https://doi.org/10.1177/001698620605000204
  67. Hanninen, G. (1988). A study of teacher training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10, 139-144. https://doi.org/10.1080/02783198809553109
  68. Hansen, J. B., & Feldhusen, J. E.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International, 6, 54-62.
  69. Hodge, K. A., & Kemp, C. R. (2000). Exploring the nature of giftedness in preschool childere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4, 46-73.
  70. Kell, H. J., & Lubinski, D. (2013). Spatial ability: A neglected talent in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ettings. Roeper Review, 35, 219-230. https://doi.org/10.1080/02783193.2013.829896
  71. Lewis, G. (1984). Alternatives to acceleration for the highly gifted child. Roeper Review, 6, 133-136. https://doi.org/10.1080/02783198409552784
  72. Lubinski, D., & Benhow, C. P. (2006).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after 35 years: Uncovering antecedents for the development of math-science expertis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4(1), 316-345.
  73. Lubinski, D., Webb, R. M., Morelock, M. J., & Benbow, C. P. (2001). Top 1 in 10,000: A 10-year follow-up of the profoundly gif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718-729. https://doi.org/10.1037/0021-9010.86.4.718
  74. Nancy, J. B., Donna, E., Brenda, C., & Sidney, M. (2006).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in the super Saturday program.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9(3), 339-361.
  75. Park, G., Lubinski, D., & Benbow, C. P. (2013). When less is more: Effects of grade skipping on adult STEM accomplishments among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 176-198. https://doi.org/10.1037/a0029481
  76. Parker, J., & Karnes, F. (1991). Graduate degree programs and resource centers in gifted eudcation: An update and analysis. Gifted Child Quarterly, 35(1), 43-48. https://doi.org/10.1177/001698629103500106
  77. Piirto, J. (1999). Talented children and adults: their development and education. Columbus, OH: Pentice Hall/Merrill.
  78. PTY. (2014). Vanderbilt Programs for Talented Youth. Retrieved from pty.vanderbilt.edu.
  79. Rash, P. K. (1998). Meeting parents' needs. Gifted Child Today, 21(5), 14-17.
  80. Renzulli, J. S. (1997). Five dimensions of differentiation. Keynote presentation at the 20th Annual Confratute Conference, Storrs, CT.
  81. Rimm, S. B. (2001). Key to parenting the gifted child. Hauppage, NY: Barron's Educational Series.
  82. Robinson, H. B. (1980). The uncommonly bright child. In M. Lewis & L.A. Rosenblum (Eds.), The Uncommon child. New York, NY: Plenum.
  83. Roeper, A. (1977). The young gifted child. Gifted Child Quarterly, 31(4), 161-164.
  84. Shea, D. L., Lubinski, D., & Benhow, C. P. (2001). Importance of assessing spatial ability in intellectually talented young adolescents: A 20-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604-614. https://doi.org/10.1037/0022-0663.93.3.604
  85. Siemer, E. A. (2009). Bored out of their minds: The detrimental effects of no child left behind on gifted children. The Free Library.
  86.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CO:Love.
  87. Silverman, L. K. (2013). Giftedness 101. New York, NY: Springer.
  88. Stanley, J. C., Keating, D., & Fox, L. (1974). Mathematical talent. Baltimore, MD: Johns Hopkins Press.
  89. US News & World Report (2014). Special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grad-schools.usnews. rankingsandreviews.com/best-graduate-schools/top-education-schools/special-needs-educati on-rankings.
  90. VanTassel-Baska, J. (1986). Effe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0(4), 164-169. https://doi.org/10.1177/001698628603000404
  91. VanTassel-Baska, J. (1989). Case studies of disadvantaged gifted learners. Journal of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1), 22-36.
  92. VanTassel-Baska, J. (1992). Effective curriculum planning for gifted learners. Denver: Love
  93. VanTassel-Baska, J. (2003). Curriculum for at-risk learners. Monograph for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Gifted and Talented, Storrs, Connecticut.
  94. Van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6). Comprehensio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3r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95. Vars, G. F., & Rakow, S. R. (1993). Making connections: Integrative curriculum and the gifted student. Roeper Review, 16(1), 48-53. https://doi.org/10.1080/02783199309553535
  96. Walker, S. Y. (2002) The Survival Guide for Parents of Gifted Kids. Minneapolis, MN: Free Spirit Publishing, Inc.
  97. William & Mary (2014). Center for Gifted Education hosts students form Korea. Retrieved from http://education.wm.edu/news/news-archive/2014/g-e-korea.php.
  98. Wilson, E. O.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NY: Knop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