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s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 특성

  • Received : 2014.04.04
  • Accepted : 2014.04.22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th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future problem solving (FP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s. In order to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thirty seven science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lessons. The ideas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science gifted students are 'changes of the sunlight by water layer', 'changes of the Earth's temperature', 'changes of the air pressure', ' change of the wind and weather' were represented in order. On other hand, regard to earth system thinking for climate changes, while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used sub components related to atmospheres frequently, they were used sub components related to biosphere, geosphere, and hydrosphere a little. Bu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components related to earth system, they were recognised that biosphere, geosphere, and hydrosphere used very important in network structures. In conclusion,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understood well that components of the earth system are influencing each other.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미래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영재들의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미래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개발한 후 37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산출된 과학영재의 해결 아이디어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들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물 층으로 인한 햇빛의 양 변화, 지구의 온도 변화, 기압의 변화, 바람 및 날씨 변화'순의 개념 연결을 주로 보이고 있었다. 한편 미래문제해결에 대한 지구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과학영재들은 대기권에 대한 하위요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생물권, 지권, 수권 요소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구시스템 관련 하위요소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생물권, 지권, 수권 관련 요소가 네트워크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시스템 관련 요소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성, 이용섭 (2012). 미래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51-59.
  2. 김미숙 (2004). 탐구형 영재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영재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3(1), 5-31.
  3. 김세현 (2014). 미래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창의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김영채 (2004). CPS: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박영사.
  5. 김영채 (200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 수업을 위한 코칭 가이드. 경기: 교육과학사.
  6.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제3판). 서울: 박영사.
  7. 김지영, 하지희, 박국태, 강성주 (2008).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1-21.
  8. 김희수, 김종헌, 윤근철, 이희권, 김정민, 이봉재 (2002). 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영재교육연구, 12(4), 27-45.
  9.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10.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84-696.
  11. 박선옥, 정덕호 (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75-191.
  12. 박신규, 정원우, 박영관, 홍순천, 박경미, 김중욱 (2011).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4), 885-905.
  13.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2013).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방송통신연구, 통권82호, 36-74.
  14. 손동원 (2008).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15. 손충기, 김명철 (2007). 초.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연구. 영재교육연구, 17(2), 307-337.
  16. 오준영, 김상수, 조운행 (2009).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대안개념 특성. 과학영재교육. 1(1), 65-78.
  17. 유은정, 고선영 (2013). 과학영재들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글쓰기분석. 영재교육연구, 23(6), 861-879.
  18. 이명숙, 박상범 (2011). FPSP를 활용한 과학과 프로젝트 수업이 통합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5(2), 367-390.
  19. 이승해, 이혜자 (2012).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3), 143-173.
  20.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21. 이효녕, 권영륜 (2008).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75-188.
  22. 전명남, 박상범 (2013). FPSP 팀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 관련 교사 효능감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3(2), 5-27.
  23. 조규성, 정덕호, 서은선, 박경진 (2013).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영재교육연구, 23(6), 881-898.
  24. 최은열, 문성환 (2010).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4(2), 411-431.
  25.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 영재들의 과학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24-333.
  26. 황요한, 박종석 (2010).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영재교육연구, 20(3), 847-866.
  27. Benzvi-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https://doi.org/10.1002/tea.20061
  28. Cramond B. L. (2009). Future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In L.V. Shavinina (Ed.),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pp. 1143-1156). New York: Springer.
  29.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9.tb00463.x
  30. Heitger, M., Ronsse, R., Dhollander, T., Dupont, P., Caeyenberphs, K., & Swinnen, S. (2012) Motor learning-induced changes in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as revealed by means of graph theoretical network analysis. Neuroimage, 61, 633-650.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2.03.067
  31. Kali, Y., Orion, N., & Eylon, B. 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45-556. https://doi.org/10.1002/tea.10096
  32. Reis, S. M., & Small, M. A. (2005). The varied and uniqu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diverse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3-32.
  33. Torrance, E. (1972).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4), 236-252.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36.x
  34. Treffinger, D. J. (2011).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international: Catalyst for talent recognition and development. Center for Creative Learning, Inc.
  35. Treffinger, D. J., Solomon, M., & Woythal, D. (2012). Four decades of creative vision: Insights from an evaluation of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international (FPSPI).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6(3), 209-219. https://doi.org/10.1002/jocb.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