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Self Esteem and Reactions on Landscape Montage Test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Received : 2014.04.05
  • Accepted : 2014.04.16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 esteem and reactions on LMT projective technique to a group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at purpose, 113 participants from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were asked to fill out self esteem questionnaire and draw a LM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PASW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elf esteem of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reactions on LMT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items; integration of landscape composition, expression of distance and space, number of additional items, existence of doors and window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 esteem and LMT scores.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풍경구성법을 실시한 후 SPSS.PASW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보다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높았다. 둘째,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풍경구성의 통합성, 원근과 공간감 표현, 추가 항목 수, 문과 창문의 유무 4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양희, 김희진, 원희정, 이경희, 조윤선, 하주영 (1996).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와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29, 94-111.
  2. 구혜경, 이수진 (2011).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30, 51-83.
  3. 기정희 (2009). 풍경구성기법의 의미와 구조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16(3), 319-337.
  4. 기정희 (2010). 풍경구성기법의 구조와 해석.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5. 기정희, 김경남 (2010). LMT 시행에서 요소의 순차적 제시가 풍경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7(4), 1017-1031.
  6. 김갑숙, 기정희, 전영숙 (2010). 청소년의 불안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17(6), 1397-1409.
  7. 김동연, 이근매, 정금자 (1994). 풍경구성법에 의한 미술치료가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 아동의 수업일탈과 대인회피행동개선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1), 101-114.
  8. 김선현 (2006). 마음을 읽는 미술치료. 서울: 넥서스B00KS.
  9. 김희화, 김경연 (1998). 개인적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2), 47-60.
  10.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 김상원 (2011). 인간발달과 가족. 파주: 교문사.
  11.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 (2011).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12. 류지영 (2006). 고교 정보과학 영재 캠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3), 181-202.
  13. 류지영, 박경빈, 박인호, 방승진, 육근철, 윤여홍, 이미순, 이재호, 전미란, 전영석, 조석희, 진석언 (2012). 영재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4. 문정화, 이승희 (1993). 인물화검사를 통한 영재아와 비영재아의 심리적 특성비교. 영재교육연구, 2(1), 239-251.
  15. 박병금, 유은선 (2011). 청소년의 권리인식과 자아존중감. 청소년학연구, 18(8), 89-116.
  16. 박완용 (2009).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17. 송수지 (2000).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0(2), 88-109.
  18. 신동균 (1989). 투사적 기법을 통한 성격구조 및 역동의 평가. 대학생활연구, 7, 123-137.
  19. 신지은, 박부진 (2011).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8(5), 1083-1111.
  20. 정여주 (2008). 미술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21. 정익중 (2006). 자아존중감과 청소년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 사회복지연구, 31(가을), 133-159.
  22. 정지은, 김민태, 오정요, 원윤선 (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23. 조은문, 이종연 (2009). 중학생 영재와 평재 간 대인관계와 공감의 차이 및 상관연구. 상담학연구, 10(2), 1149-1164.
  24. 존 가트맨, 최성애, 조벽 (2011).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서울: 한국경제신문.
  25. 주리애 (2004). 그림에 사용된 색채의 임상적 의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6. 주리애 (2006).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서울: 학지사.
  27. 차현희 (2010).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알코올 중독자와 일반인의 반응특성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0(1), 171-203.
  28. 최승언, 김은숙, 전미란, 유희원 (2012).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연구. 영재교육연구, 22(3), 575-596.
  29. 최외선, 김유경, 김경남, 은영지 (2010). 풍경구성기법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그림 표현 양상. 예술심리치료연구, 6(1), 253-278.
  30.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 (2006).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부모효과와 또래효과의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17(2), 241-263.
  31. 皆藤 章. (2012). 풍경구성기법. [기정희, 최외선, 김갑숙, 역]. 서울: 학지사.
  32. Amos, S. (1982). The diagnostic, pro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of schizophrenic art. The Art in Psychotherapy, 9, 131-143. https://doi.org/10.1016/0197-4556(82)90016-8
  33. Crocker, J., & Major, B. (1989).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the self-protective properties of stigma. Psychological review, 96, 608-630. https://doi.org/10.1037/0033-295X.96.4.608
  34. Samuels, S. C. (1977). Enhancing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New York: Human Science press.
  35. Rosenberg, M., & Simon, R. G. (1971). Black and white self-esteem: The urban school child. washington: Ros-Monograph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