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Classroom Assessment - Professional General Education and MSC curriculum in the Engineering College Enrichment Program -

학습 평가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IPA) - 공과대학 심화프로그램의 전문교양 및 MSC 교과목을 중심으로 -

  • Noh, Jin-Ah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Yu-Hyun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노진아 (충남대학교 공업기술교육학과) ;
  • 최유현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12.10.18
  • Accepted : 2014.05.12
  • Published : 2014.05.31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lies in estimating how much importance the educators of professional general education and MSC curriculum put on assessment, and, thereafter, take w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efficient assessment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educators of professional general education and MSC curriculum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enrichment program at the 58 universities out of 72 universities where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is implemented. Accordingl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58 universities among which 13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data analysis methods, mean and response sample T test,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ile mea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e 'assessment activities'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in tile assessment, the assessment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assessment importa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in the 'assessment activities' was analyzed by two ways. First, Analyzed with the scale mean, The result means that Keep up the Good Work (KGW) sector included all factors. Second, Analyzed with the actual mean, The result means that KGW sector included 5 factors A, J, B, D, C. Possible Overkill(PO) sector included factors C, I. Low Priority(LP) sector included 4 factors K, E, H, L. Concentrate Here (CH) sector included factor G.

Keywords

References

  1. 권소연(2010). 외식 서비스 교육훈련 평가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IPA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기기철(2005).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평가-Y공업대학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경희(2004).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습평가시스템 분석 및 개선방안. 서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병길(2009). 대학 글쓰기 평가방법과 실태 연구. 작문연구. 8(-), 141-164.
  5. 김수동,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연구(II) 연구보고 RRE 2005-3.
  6. 김진규(2000). 학교 행정가의 평가 관리 기술 척도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4(1), 223-236.
  7. 김진수, 최유현, 김수경(2008). 공과대학 교수들의 공학교육 연수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공학교육연구, 11(2), 50-64.
  8. 김창성(2006). 대학에서 역사교육 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역사와 역사교육, 12(-), 79-96.
  9. 노민경(2007). 호텔 종사원 서비스교육 평가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노복필(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과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정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노진아, 최유현(2012). 전문 교양 및 MSC 교과목 교수자를 위한 학습 평가 활동 준거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2. 박기문, 최유현(2011).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1(1), 79-103.
  13. 박인숙(2009). 초등학교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혜림(2007).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 영역 및 준거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최기종, 박상현(2001). IPA를 이용한 관광지 평가: 산정호수 사례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0(1), 275-289.
  16. 손은영(2010). 호텔. 관광 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서형택(2007). 대구지역 중등 교사들의 학생평가 실태 및 평가 전문성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오길희(2008). 체육교사의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정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오세은(2011). 커피교육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른 커피교육 성과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오혁진.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준거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윤아현(2004). 사이버대학 교수자 지원체제의 중요도 실행도에 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규녀(2010).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성호(1987). 대학교육과정론-쟁점과 과제-.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4. 이소이(2005). 한국 공과대학에서의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이순연. (2010).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울 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 교욱주체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은주(2011). 대학원 교육서비스픔질과 학생만족, 행동의도와 의 관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연구보고 RRE 2004-14.
  28. 정철, 서용석(2010). 국내 관광학연구에 사용된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의 재고찰. 觀光硏究論叢, 22(1),119-137.
  29. 조경원, 김경자, 노선숙(2000).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실태조사. 교육과학연구, 31(2). 1-505
  30. 조벽(1995). 공학교육방법론-공학교육 교수론. 한국공학교육학회, 2(3), 16-19.
  31. 최유현, 김태훈, 강경균, 김동하, 김선희, 김윤희 외(2009). 공학교육 교수자를 위한 공학교수 학습 평가의 실제. 서울: 한티미디어.
  32. 최유현(2010). 기술교과 학습의 탐구. 서울: 형설출판사.
  33.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1a). 공학인증기준2005 설명서(KEC2005). 검색일 2012년 6월 1일, ABEEK-2011-ABE-011, 한국공학 교육인증원
  34.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1b). 공학인증기준2005(KEC2005). 검색일 2012년 6월 1일, ABEEK-2011-ABE-010, 한국공학교육인증원
  35.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E 99-4-3.
  36. 한국공학교육학회(2005). 공학기술과 인간사회, 지호, 서울: 지호.
  37. 한신일(2009). 대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수행능력 개선방안 연구. 敎育行政學硏究, 27(2), 233-255.
  38. 황정규(2009). 학교학습과 교육 평가. 경기도: 교육과학사.
  39. Heywood, J.(2005).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uns.
  40. Martilla, J. A. &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13-17. https://doi.org/10.2307/1250226
  41. Oh, H.(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22(-), 617-627.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