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기요양수급 대상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a Guardian of a Recipient of a Long-term Care Program on Job Satisfaction of Care Helpers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태우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4.02.11
  • 심사 : 2014.03.13
  • 발행 : 2014.05.28

초록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요양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보호자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급노인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무여건개선에 근거자료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은 하루 4시간 근무하는 계약직으로서 급여가 적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고, 보호자와의 의사소통도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들의 대다수가 가족요양을 목적으로 자격을 취득하였고, 특정 기관에 귀속되기 보다는 유연하게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둘째, 수급노인 보호자가 남성으로 배우자 혹은 자녀인 경우, 연령이 높은 경우, 보호자로부터 부당한 요구를 받지 않는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고, 의사소통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대부분이 법규에 규정된 역할이 아닌 과도한 가사지원을 보호자와 대수급자로부터 요청을 받기 때문이다. 셋째, 수급노인 보호자와 의사소통이 잘되어 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만큼, 수급노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식교육, 요양보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아울러 요양보호사와 보호자가 친밀감과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한 업무매뉴얼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a guardian of a recipient of a Long-term Care Program on job satisfaction of care helpers of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analyzed. First, most of the care helpers are content with their job despite low pay and short work-hour. Especially, they are aware of the need of communication with a guardian but skeptical about the need of having intimacy with a guardian, so the relation between a care helper and a guardian is usually formal only. Secon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a guardian, care help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when a guardian is a male and old, and does not have an unreasonable demand. Third, they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when they have better communicate with a guardian rather than higher intimacy. Considering this result, we should make programs such as education for a guardian to develop intimacy with a care helper and one for a care helper to develop intimacy and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a guardian. It is also needed to have guidelines which set up relationship between a helper and a guardian.

키워드

참고문헌

  1. 서동민, 김욱, 문성현, 이용재, 임정기, 장기요양 종사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및 대책, 건강보험공단, 2012
  2.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2011
  3. 이서영, 임효연,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38-247, 2013.
  4. 임정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25-235, 2011.
  5. 권승숙, 송선희,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업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20-329, 2012.
  6. 이병록,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123-150, 2012.
  7. 강영식,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904-3914, 2011.
  8. 고미혜, 가부장적 태도와 노년기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효율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11
  9. W. G. Scott, Organizational Theory: A Structural and Behavioral Analysis. N. Y.: Irwin Press,1976.
  10. D. F. Elloy, J. E. Everett, and W. R. Flynn, "ultidimensional Mapping of the Correlates of Job Involvement,"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Vol.27, No1, pp.79-91,1995. https://doi.org/10.1037/008-400X.27.1.79
  11. J. D. Pincus, "Communication Satisfaction &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pp.396-419, 1986.
  12. Chester I. Barnard,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13. 김병섭, 박광국, 조경호, 조직에서의 이해와 관리, 대영문화사, 2003.
  14.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NY: McGraw-Hill Book Co, Inc.,1955.
  15. J. R. Schermerhorn,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 New York : Wiley, 1997.
  16. 김현진, 김혜경,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통권 51호, 2011.
  17. 이영면, 백승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생활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 연구, 제17권, 제4호, 2011.
  18. 이윤석, 문승권,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 및 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32권, 제1호, 2012.
  19. 김영태, 김회웅, 염영배,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6권, 2009.
  20. 김미령, 심정원, "재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수급자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의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193-228, 2011.
  21. 박영희, 나중덕, 김선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노인복지연구, 제52권, 2011.
  22. 박찬상, "재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중심으로", 교회사회사업, 제19권, 2012.
  23. 조선희,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욕구의 조절효과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 2012.
  24. 김숙경,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언어치료 석사논문, 2008.
  25. 이수진,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