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영화 시장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 Market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김태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 조남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융합대학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
  • 홍정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융합대학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 투고 : 2014.02.04
  • 심사 : 2014.03.03
  • 발행 : 2014.06.28

초록

최근 한국 영화시장은 높은 성장률을 거듭하면서 그 영향력을 해외로 넓히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영화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간의 유사성과 관련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개봉된 영화들을 몇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장르, 등급, 배급사, 국적, 규모, 수익성 등의 여러 특성을 활용하여 얻은 연결망은 몇 개의 군집으로 나뉘며, 각각의 군집에 대하여 군집을 규정지을 수 있는 대표적인 특성과 군집 별대표로 선정된 영화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장르에 비해 상영등급과 국적이 전체 영화시장을 각각의 군집으로 나누는 중요한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화의 수익성에 있어서도 군집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더 나아가 확산 모형의 추정 결과는 영화의 성공과 입소문 효과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한 영화들의 경우에는 높은 초기수요와 빠른 최대 시점을 갖는 단조 감소의 확산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Korean film industry has continuously experienced a rapid growth and expanded its influence to foreign countries. Accordingly,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in various research are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In this study, we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attributes such as genres, ratings, distributors, nationalities, sizes, and profitability to divide the movies into several clusters with respect to their similarity. Results suggested that the ratings and nationality rather than the genre are the major factors to divide the motion picture market into clusters and the profitability also varies much across the clusters. Furthermore, estimation of the diffusion model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 of a movie and the word-of-mouth effect, while the relatively unsuccessful titles exhibited a monotonic decreasing diffusion pattern with the high initial demand and the early peak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설리, 유승호,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 워크의 관객동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62-7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062
  2. 정종화, 한국영화사, 한국영상자료원, 2008.
  3.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영화정책센터, 2013.
  4. 영화진흥위원회, 2013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영화정책센터, 2014.
  5. A. Elberse and J. Eliashberg, "Demand and Supply Dynamics for Sequentially Releas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se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Vol.22, No.3, pp.329-354, 2003. https://doi.org/10.1287/mksc.22.3.329.17740
  6. M. J. Salganik, P. S. Dodds, and D. J. Watts, "Experimental Study of Inequality and Unpredictability in an Artificial Cultural Market," Science Vol.311, No.5762, pp.854-856, 2006. https://doi.org/10.1126/science.1121066
  7.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No.4, pp.159-175, 1983.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
  8. J. Eliashberg and S. M. Shugan, "Film Critics: Influencers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2, pp.68-78, 1997.
  9. S. A. Ravid, "Information, Blockbusters, and Stars: A Study of the Film Industry," The Journal of Business, Vol.72, No.4, pp.463-492, 1999. https://doi.org/10.1086/209624
  10.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243-276, 2009.
  11. 최병호, 최성희, "한국 영화시장에서 영화 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제29권, 제3호, pp.139-160, 2011.
  12. 이윤정, 신형덕, "원작의 유무와 형태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108-11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108
  13.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040
  14. 박지연, 한국 및 외국 흥행 영화에 대한 네티즌 리뷰 연결망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5. 조진희 외, 한국 영화산업의 사회연결망 분석 : 영화시장 개방효과에 대한 장기적 연구, 한국영화진흥위원회, 2006.
  16. 김태구, 홍정식, "개봉 규모와 수익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와 확산 패턴 분석", 산업공학회지, 제39권, 제5호, pp.412-421, 2013. https://doi.org/10.7232/JKIIE.2013.39.5.412
  17. 심원섭, 이연택,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한국관광산업 이익집단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관광학연구, 제32권, 제3호, pp.13-35, 2008.
  18. 이중만, 최민석,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415-428,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415
  19. 류설리, 유승호,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트워크의 관객동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62-7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062
  20. J. Krauss, S. Nann, D. Simon, P. A. Gloor, and K. Fischbach, "Predicting Movie Success and Academy Awards through Sentiment and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 paper, ECIS, pp.2026-2037, 2008.
  21. L. Doshi, J. Krauss, S. Nann, and P. Gloor, "Predicting Movie Prices Through Dynamic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2, No.4, pp.6423-6433, 2010.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4.052
  22.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3.
  23. 김성희, 장로사, "사회 연결망 분석 연구동향 및 정보학 분야에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1-87, 201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71
  24.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1.
  25. T. Kim, J. Hong, and H, Koo, "Forecasting Diffusion of Innovative Technology at Pre-Launch: A Survey-Based Method,"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ol.113, No.6, pp.800-816, 2013. https://doi.org/10.1108/IMDS-11-2012-0414
  26. F. M. Bass, "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 Management Science, Vol.15, No.5, pp.215-227, 1969. https://doi.org/10.1287/mnsc.15.5.215
  27. T. Kim and J. Hong, "Bass model with integration constant," working paper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