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Meaning of the Site Layout of Koguryo Buddhist Temples of the 5th Century compared to the Excavated Cases of Chinese Temples

중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본 5세기 고구려 사지의 역사적 의미

  • Received : 2014.02.06
  • Accepted : 2014.06.02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Excavated information of Buddhist temples of Koguryo built during the $5^{th}$ century, have been roughly understood to be a kind of continuation of Chinese trend of Buddhist architecture. However, recent excavation report of Chinese temples of the 5-6th century, casts quite different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Since no evidence of octagonal pagoda and two image halls on each side of central pagoda, which are the two key features of Koguryo sites, were not found in Chinese cases, it seems quite evident that Koguryo sites were not generated after the Chinese pattern, but created by Koguryo. It is possible for Koguryo, to adopt foreign influence such as Indian circular stupa or the system of East and West halls on each side of central hall in palace architecture, however, Even if Koguryo people adopted such aspects, they must have interpreted them in their own way to be able to create entirely new pattern of Buddhist temple. It is quite clear that Koguryo temples sites of the $5^{th}$ century, is not continuation of Chinese model but creation of Koguryo's own. This fact imply that the ancient Buddhist architectures of Korean peninsula as a whole needs to be reinterpreted since temples sites of Paekche and Silla, as well, employed the pattern of 3 imge hall which so unique development of Koguryo.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中國科學院考古研究所西安唐城工作隊, 唐青龍寺發掘簡报, 考古, 1974年5期
  2. 中國科學院考古研究所西安唐城工作隊, 唐青龍寺遗址, 考古學报, 1989年第2期
  3.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北魏洛陽永宁寺-1979-1994年考 古發掘报告,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6年
  4.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河北省文物研究所邺城考古隊, 邺城遗址東魏北齊佛寺塔基的發現与發掘, 考古, 2003年第10期
  5. 林省 文物考古硏究所, 集安市博物館, 丸都山城: 2001-2003年 集安丸都山城調査試掘報告書, 文物出版社, 2004
  6. 大同市博物館, 大同北魏方山思遠佛寺遺址發掘報告,文物, 2007年4期
  7. 遼宁省文物考古研究所, 朝陽市北塔博物館, 朝陽北塔-考古發掘与维修工程报告, 文物出版社, 2007年
  8. Kim, Sungwoo, History and Design of the Early Buddhist Architecture in Korea ,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85
  9. 김성우, 동아시아 불사의 최초형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권, 3호, 1987
  10. 김성우, 북위 영녕사와 삼국시대의 불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7.8
  11. 김성우, 삼금당 형식의 기원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88.2
  12. 김성우, 高句麗 佛寺 計劃의 變遷-上五里 寺址를 中心으로, 大韓建築學會論文集 19, 1988.10
  13. 김성우, 일탑일금당 형식의 전개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89.12
  14. 김성우, 三金堂 形式의 展開, 大韓建築學會論文集 27, 1990.2
  15. 김성우, 고구려사지를 중심으로 고찰한 5세기 전후 불사계획의 변화 , 건축역사연구, 1996.06
  16. 金聖雨, 三金堂形式の起源としての二金堂形式の可能性-高句麗佛寺地を中心として, 日本建築學會計劃系論文集, 1997.5
  17. 殷光明, 北涼石塔分期試論, 敦煌硏究 53, 1997
  18. 박진숙, 장수왕대 고구려의 대 북위외교와 백제 , 한국고대사연구 36, 2004.12
  19. 이강근, 고구려 8각 건물지에 대한 연구, 선사와 고대 23, 2005
  20. 정선여, 고구려불교사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1. 김소형, 삼국시대 다각형 건물형태의 발생에 관한 연구 ,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8
  22. 김진한, 문자왕대의 대북위 외교, -북위 효문제 선무제의대외 정책과 관련하여 , 한국고대사연구 44, 2006.12
  23. 최광식, 한중일 고대 제사제도 비교연구 - 팔각건물지를 중심으로 , 선사와 고대, 27, 2007
  24. 표영관, 高句麗佛敎初傳再考, 고구려발해연구, 2008
  25. 강병희,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 -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 韓國思想史學, 36집, 2010.12
  26. 이병호, 동아시아 고대 불교사원과 불전에 배하여 , 동아시아 고대사지 비교연구(2)-금당지편, 2010
  27. 김두진, 고구려 초전불교의 공인과 그 의미 , 한국학논총 36, 2011
  28. 이성제, 4세기말 고구려와 후연의 관계 , 한국고대사연구 68, 2012. 12
  29. 강병희, 백제와 고구려 사찰과의 비교, 백제사찰과 주변국 사찰과의 비교연구, 2013
  30. 현승욱, 중국초기 불교 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후한부터 남북조까지의 문헌을 중심으로 , 건축역사연구, 2013.2
  31. 안대환, 김성우,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팔각 건물지의 성격과 역사적 전개, -유구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3.8
  32. 조원창 백제사찰과 일본 사찰의 비교 , 백제 사찰과 주변국 사찰과의 비교연구, 2013
  33. 안대환, 김성우, 5세기 고구려 사찰의 8각 목탑에서의 탑돌이 시설의 가능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4년 2월 현재 심사중)
  34. 이기백, 한국사신론 , 일조각, 1967
  35. 葉大松, 中國建築史 1, 中國電氣技術出版社, 1977
  36. 北涼程段兒小石塔, 劉玉山編審, 中國歷代美術, 調望編, 1994
  37. 殷光明, 北涼石塔硏究, 覺風佛敎藝術文化基金會, 2000
  38.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