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tegorization of motion drawing for educating animation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applied with principles of brain science

애니메이션 교육을 위한 모션드로잉 범주화 -뇌과학 원리를 적용한 교육모형 개발 기초연구

  • 박성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is a process of studying an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 and a preceding analysis process of the study where a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brain function, learning and creative mechanism is applied with a perspective of effectively increasing the animation drawing ability. Recently, studies in each field of study is not simply limited to one major but are attempting to produce subdivided integrate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integrated study activities with other fields. It is because for any field, it has a complex structure of humanistic experience and this is the same for artistic field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nimation, a specialized area is subdivided so when looking only at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drawing, the items required for expertise should be clarified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al method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literature study result to design the educational model suitable fo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education method is proposed. The study aims to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meaning of drawing that can refine the basic ability for education of animation fiel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majoring field. Afterwards, the components are derived through re-established concept of drawing and categories, and this becomes the basis for the process of materializing the study goal which is the follow-up work. As a result, the components are examined by defining the meaning of drawing as the motion draw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contents field, and used as a basis for planning the educational model applied with brain scientific creative-learning principles.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육모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뇌의 기능과 학습, 창작 기제를 고려한 교수법을 적용하면 애니메이션 드로잉능력이 효율적으로 신장될 것이라는 관점으로 이어지기 위한 연구의 선행분석 과정이다. 근래에 각 분야의 학문 연구들은 단순히 한 전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타 분야와의 융합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세분화 된 융합적 교육 콘텐츠를 생산해 내는 시도들을 하고 있다. 어떠한 분야 던지 복합적인 인문학적 경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예술분야 또한 그러하다. 특히나 영상콘텐츠인 애니메이션 분야는 전문화된 영역이 세분화 되어 있기 때문에 드로잉 관련 교육만 보더라도 전문성에 필요한 항목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교육방법의 전문적인 특성에 적합한 교육모형을 설계하기 위한 문헌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이에 애니메이션 분야의 교육에 가장 기초적인 능력을 연마할 수 있는 드로잉의 의미를 전공분야의 특성에 맞게 개념화하고 범주화하였다. 이후 재정립 된 드로잉의 개념과 범주를 통해 구성요소가 돌출되며 이는 후속 작업인 학습목표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토대가 된다. 그에 대한 결과로 애니메이션 분야의 특성이 반영된 드로잉의 의미를 모션드로잉으로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살펴보며, 뇌과학적 창의-학습 원리를 적용한 교육모형을 계획하기 위한 근거로 삼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일태 외, 만화애니메이션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8.
  2. 김진엽. "드로잉의 기초", 서울:구제, 1987.
  3. 임정기 외,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예경, 2006.
  4. Claudia Betti, Teel Sale, 하영식 역. "현대 드로잉 기법", 미진사, 1998.
  5. Richard Williams, 한창완 외 역. "애니메이터 서바이벌키트", 한울, 2003.
  6. 김경애, "애니메이션의 연기.연출 : 애니메이션(Cars)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1(3) 2008.2.
  7. 반상희, 방우송,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서의 타이밍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2), 2005, pp.150-264.
  8. 이현수, "창의적인 표현을 위한 드로잉 수업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 2004.2, pp.130-138.
  9. 하영진, "드로잉에서 명상을 활용한 발상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2.
  10. 반상희, "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2.
  11. Edward Hill. "Language of Drawing", New Jersey: Pretice Hallinc, 1996.
  12. 김일태 외, "드로잉", "만화애니메이션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9243&cid=372&categoryId=1364, 2008,12,30.
  13. Naver, www.naver.com, 검색어: 모션, 국립국어원, 2013.
  14. 최화삼, "드로잉1",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1&contents_id=4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