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creen Space and Motion of Tabaimo Animation

타바이모(TABAIMO) 애니메이션의 화면 공간과 움직임에 대한 연구

  • 이진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제작)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According to Norman McLaren, a Canadian animator, "Animation is not art of moving pictures but art of drawn motions". As he puts it, animation performs the role of magic that turns static to dynamic. Particularly, the space of animation, which is generated through merger of several layers, creates distinctive space that is not to be found in other art genres. Also, the motion of animation, which, unlike live action in film, can be limitlessly created according to a director's subjective domain, has a more autonomous existence. In this paper, I study the space and motion in animation grounded in a director's subjective domain, based on the works by Tabaimo, the Japanese animator director and modern artist. She made an independent use of color sense and perspective that maximized a flat surface, which contributed to creating a new world that doesn't exist in reality. Motion created in such a space is more relative than universal. Therefore, Tabaimo's animation has made aggressive use of a device that gives more originality to the director's themed world, while audience can participate in the strange but new world.

캐나다 출신 애니메이터 노먼 맥라렌Norman McLaren에 따르면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의 예술이 아니라 그려진 움직임의 예술이다".라고 한다. 그의 견해와 같이 애니메이션은 정적인 것을 동적으로 만드는 마술과 같은 역할을 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공간은 여러 개의 레이어가 하나로 합쳐지면서 발생하게 되므로 역시 다른 예술에서는 볼 수 없는 독자적인 공간을 만들어 낸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 움직임은 영화Live-action와 달리 감독의 주관적 세계에 따라 얼마든지 창조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율적으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 출신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현대미술 작가인 타바이모(TABAIMO)의 작품을 토대로 감독의 주관적 세계에 입각한 애니메이션에 대해 공간 및 움직임에 대하여 연구한다. 그녀는 평면을 극대화 한 색감과 원근을 독자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는 현실에 없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내는데 일조하였다. 이러한 공간에서 만들어 내는 움직임은 보편적이기 보다는 상대적이다. 그러므로 타바이모의 애니메이션은 주제에 따른 감독의 세계관을 보다 독창적으로 보이는 장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관객은 낯설지만 새로운 세계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스콧 맥클라우드, 김남호 역, "만화의 이해 : 보이지 않는 예술", 2008.
  2.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3.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역, "영화와 내레이션 I", 시각과 언어, 2007.
  4. 임마누엘 아나티, 이승재 역, "예술의 기원", 바다출판사, 2008.
  5. 장 디디에 뱅상 외, 이자경 역, "생물학적 인간, 철학적 인간", 푸른 숲, 2002.
  6. 정헌 "영화 기술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 클레멘트 그린버그, 조주연 역, "예술과 문화",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4.
  8. 존 버거, 동문선 편집부 역, "이미지", 동문선, 2005.
  9. 김승연 외 일본의 우키요에가 19세기 후반 서양 미술사에 끼친 영향,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4호, 2012, pp.51-60.
  10. 노성두, 알베르티의 회화론, "미술사학연구회", 제9권, 1997, pp.7-24.
  11. 이소일, "외화면과 영화 공간의 확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12. 이화종, 타이틀시퀀스의 움직임에서 시지각과 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2권 3호, 2009, pp.239-248.
  13. Chris Gehman, Steve Reinke, The Sharpest Point, YYZ Books, 2005.
  14. Steven T. Brown(ED.), Cinema Anime, Palgrave Macmillan, 2006.
  15. Thomas Lamarre, THE ANIME MACHIN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