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motion drawing education for animation

애니메이션을 위한 모션드로잉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종한 (호서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 박성원 (청강문화산업대학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is a process of studying an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 and a preceding analysis process of the study where a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expertise of animation is applied with a perspective of effectively increasing the animation drawing ability. The animation field which is the image contents is a visual art that delivers the story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when looking only at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drawing, the items required for expertise should be clarified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aims to review the necessity of education mode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s that corresponds to the categorization of motion drawing considered with expertise of animation. As a resul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planning the educational model of a subject in the category of motion drawing.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analysis phase of ADDIE educational model development and in the future, as an attempt for integrated studies, will lead to a study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functions of brain and creative mechanism.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육모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애니메이션의 전문성을 고려한 교수법을 적용하면 애니메이션 드로잉능력이 효율적으로 신장될 것이라는 관점으로 이어지기 위한 연구의 선행분석 과정이다. 애니메이션 분야는 대상의 움직임을 통해 스토리를 전달하는 영상예술이기 때문에 드로잉 관련 교육만 보더라도 전문성에 필요한 항목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교수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전문성이 고려된 모션드로잉의 범주화 내용에 해당되는 교육적 과제를 분석하고, 국,내외 커리큘럼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현재의 상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교육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그에 대한 결과로 모션드로잉 영역에 있는 교과목의 교육모형을 계획하기 위한 근거로 한다. 이 과정은 ADDIE교육모형 개발의 분석단계에 해당되며 추후, 융합적 연구의 시도로써 뇌의 기능과 창작기제를 바탕으로 한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로 이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정기, 이성도, 김황기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예경, 2010.
  2. Betty Edwards, 비즈앤비즈 편집부 역. "눈으로 마음으로 그리기", 비즈앤비즈. 2010.
  3. John Halas, 황선길 역.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범우사, 2002.
  4. Kimon Nicolaides, 서수형 역. "그림, 자연스럽게 그리기". 비즈앤비즈, 2011.
  5. Mike Mattesi, 박성은 역. "포스드로잉", 비즈앤비즈, 2008.
  6. Richard Williams, 한창완 외 역. "애니메이터 서바이벌키트". 한울, 2003.
  7. Victor Perard, "해부학에 준한 인체드로잉". 상투스. 2008.
  8. 김혜성, 국내4년제 대학 애니메이션과 교과과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9. 박미선. 4년제 대학교 디지털디자인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이건호. 고차원적 정신현상에 대한 뇌기능적 연구. 한국뇌과학 심포지엄, 2002.
  11. 이성수, 한국의 애니메이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대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3.
  12. 우미라. 뇌과학이론에기반한초등문학교육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13. 이지은. 상업애니메이션에서 라이프드로잉(lifedrawing)교육의 중요성. 한국만화에니메이션학회, 2005.
  14.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 전공 교과목 구성 http://shinan.hongik.ac.kr/-admud/03_3-1.htm, 2013
  15. 청강문화산업대학 애니메이션전공 교과목구성 http://ani.ck.ac.kr/
  16. 칼아츠 교과목 구성 www.artreal.co.kr, 2013
  17. 캐플라노 컬리지 커머셜 애니메이션학과 교과목 구성, 2013. http://gradshoe.com/programs/c_ani/course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