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n the Study of Sibjeondaebo-tang (Shiquan dabutang)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3

최근 십전대보탕의 실험적 연구 및 치험례에 대한 고찰(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Jung, Hoo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Park, So-Jung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Hyung-Eu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Binnara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Eun-Jung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eo, Dong Seo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정훈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박소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이형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김빛나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이은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허동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3.12.18
  • Accepted : 2014.01.08
  • Published : 2014.01.31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analyse the study tendency in papers related with sibjeondaebotang (Shiquan dabutang) which are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3. Methods We searched the four electronic database (NSDL, 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OASIS) and checked relevant Korean journals from 2000 to 2013. We classified the papers by publish date, speciality, study method, and field of study, and analysed the study tendency. Results 1. 4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on average. 2. After classifying papers by the speciality of journal, continuous study was followed not only in korean medicine, but also in many specialities like Dietetics, Biotechnology and Pharmacology. 3. In study methods, clinical case was 29%, in vivo was 26%, and in vitro was 26%. 4. After classifying papers by field of study, beneficial effect was 62%, toxicity was 14%, qualitative analysis was 9%, and adverse effect and pharmacology was 3%. 5. In beneficial effect, it is effective in antioxid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eurologic disease, skin disease, gynecologic disease and so on. It has also an effect in enhancing the immune system, improving the dysfunction of organs, and it can also be used for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urpos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bjeondaebotang (Shiquan dabutang) can be used as cure medicine, not just as herbal tonic, but there are not sufficient evidence based papers, so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Sibjeondaebotang as a cure medicine.

Keywords

References

  1. Yates JS, MUstian KM, Morrow GR, gilies LJ, Padmanaban D, Atkins JN, Issell B, Kirshner JJ, Colman LK.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Support Care Cancer 2005;13(10):806-11. https://doi.org/10.1007/s00520-004-0770-7
  2. Cui Y, Shu XO, Gao Y, Wen W, Ruan ZX, Jin F, Zheng W.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chinese women with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2004;85(3):263-70. https://doi.org/10.1023/B:BREA.0000025422.26148.8d
  3. 張介賓. 張氏景岳全書. 서울:杏林書院. 1975:828.
  4.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臺北:旋風出版社. 1975:318.
  5. 김보경, 이상룡. 蔘茸地黃湯이 腦組織의 酸化作用에 미치는 影響.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1):59-71.
  6. 하재원. 정지환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학위논문(석사). 1996.
  7. 劉完素. 劉河間36書. 서울:成輔社. 1976:82.
  8.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79:447.
  9. 이정재. 十全大補湯 엑기스가 家兎血液에 미치는 效果. 한국의 현대의학사. 1969.
  10. 김길훤, 신민규, 김완희. 十全大補湯 Extract 投與가 Rat의 成長 및 臟器重量에 미치는 影響. 경희한의대논문집. 1978; 1:101-4.
  11. 신미향, 노석선, 김병탁. 十全大補湯이 生肌作用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1993;14(1):31-44.
  12. 김재섭. 十全大補湯 煎湯엑기스가 생쥐의 細胞性및 體液性免疫反應에 미치는 影響. 원광대학교학위논문(석사). 1984.
  13. 박성호. 少陰人 十全大補湯이 免疫反應에 미치는 影響. 경희대학교학위논문(석사). 1996.
  14. 이형주, 문석재. 十全大補湯加味方이 抗癌化學治療劑의 抗腫瘍效果 및 腫瘍細胞의 lysosomal enzymes에 미치는 影響. 한국전통의학지. 1997;7(2):116-23.
  15. 허준영, 김병수, 강정수. 十全大補湯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2):356-62.
  16. 구본홍 정규만. 십전대보탕에 관한 문헌적 고찰. 경산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東西醫學. 1980;5(2):16-20.
  17. 예상준, 장현철, 김진현, 김철, 김상균, 송미영. 한의학 연구동향 분석시스템 구현을 위한 모형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12):711-7.
  18. 이향련, 조결자, 강현숙, 신혜숙. 한방간호 연구동향 분석. 동서간호학연구지. 2003;8(1):27-40.
  19. 송영진. 자연과학 및 기술과학 분야내의 다학문간 연구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연구-암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1999:1-318.
  20. 이윤재, 황덕상, 이창훈, 이경섭. 임신 중 한의학 관련 보완 대체의학 활용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한방 산과학의 활성화방안 연구(2000년대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9;30(1):137-49.
  21. 박소정, 강기림, 김신아, 황상문, 채한. 최근 10년간 사상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4):721-7.
  22. 이수진. 사군자탕과 사물탕의 효능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1;20(1):175-82.
  23. 한국학술진흥재단(http://www.nrf.re.kr/html/kr/business/business_intro_00_06_01.html). 전공분류 검색.
  24. 황도연 저. 남산당 편집국 편역. 편증론치 방약합편. 서울:남산당 1991:409-14.
  25.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저. 방제학 교과서. 서울:영림사. 1999:294.
  26. Mary Ruggie. Marginal to Mainstram Alternative medicine 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43.
  27. Takegawa Y, Ikushima H, Ozaki K, Furutani S, Kawanaka T, Kudoh T, Harada M. Can Kampo therapy prolong the life of cancer patient? Jornal Medical Investment. 2008: 99-105.
  28. 김해심, 최정은, 유화승. 항암화학요법 유발 구내염에 대한황련해독탕 함수의 효능. 대한암한의학회지. 2011;16(1): 1-14.
  29. 송광규, 곽민아, 김종대.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이 비소세포 폐암세포(NCI-H520)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3;21(5):51-70.
  30. 하태현, 성신, 이동현. 산삼약침과 FOLFIRI 항암화학요법의 병행으로 호전된 전이성 대장암 환자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27(1):148-51.
  31. 이정화, 유동열. 2000년 이후 국내 유방암에 대한 한약물 의 최신 연구 경향 메타분석.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7;16(2):241-9.
  32. 박승찬, 유화승, 조종관. 국내 폐암에 대한 한약물의 최신실험연구 경향. 대한암한의학회지. 2008;13(1):43-54.
  33. 서민준, 이규봉, 박진한. 보중익기탕의 최근 연구동향. 한국한의학연구원론문집. 2010;16(2):83-90.
  34. 양민철, 정상원, 마진열. 유산균 발효에 의한 십전대보탕의 발효 전 후 성분 변화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1;16(2):350-6.
  35. 양미자, 김연정, 박태선. 십전대보탕 및 자혈양근탕 첨가식이가 흰쥐의 철분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3;36(3):262-9.
  36. 이정원, 남형신, 김철중. 腦硬塞과 低血糖症이 함께 發한 患者 1例에 對한 臨床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방병원.혜화의학. 2000;9(2):123-33.
  37. 임동주, 금동희. 十全大補湯加味方의 免疫調節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1;10(1):55-65.
  38. 한상백, 신헌태, 박해모. 십전대보탕과 육미지황탕이 실험 동물의 모체에 미치는 생식독성학적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2):159-74.
  39. 정민영, 김민정, 송진수. 아토피 환자에 병발한 포진상 습진 치험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12(3): 290-7.
  40. 이윤재, 이성균, 김정환. 뇌혈관질환 후 발생한 욕창에 대한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426-32.
  41. 박동일, 박봉규, 김원일. 十全大補湯이 알레르기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2):308-15.
  42. 허종찬, 원진희, 김동웅. 인간 폐암세포주 H-460 세포에서 가감십전대보탕과 의 병용처리에 의한 항종양 증진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1089-97.
  43. 최훈, 강희, 심범상.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이 혈관신생 (血管新生) 억제(抑制)에 미치는 효과(效果). 대한암한의학회지. 2006;15(3):119-34.
  44. 한미숙, 소준노, 송정모, 은재순. 항암제 Mitomycin C의 부 작용에 대한 加味十全大補湯의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1;15(4):599-604.
  45. 이범준, 전진희, 류재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1예.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4):661-5.
  46. 최은희, 전주현, 김연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 치험1례.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225-35.
  47. 이진한. 癌 알면 이긴다. <5.끝>민간요법, 고통만 키운다. 동아일보. 2004-06-20.
  48. 통계청홈페이지. 의료기관 시도별 수술현황. [cited 2013 Oct 15]. Available from: URL: http://kostat.go.kr/wnsearch/ search.jsp.
  49. 송효원. 십전대보탕의 활용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방제학회지. 1996;4(8):153-72.
  50. 허종찬. 인간 肺癌細胞株 H-460세포에서 加減十全大補湯과 $As_2O_3$의 병용처리에 의한 抗腫瘍 增進效果. 원광대학교대학원 학위논문(석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