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의 주요국 정책과 시장전망에 관한 연구

Study of Policies of Major Countries on Internet of Things and Market Forecast

  • Ko, Yun Seung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Business, Seoul Cyber University)
  • 투고 : 2014.11.25
  • 심사 : 2014.12.19
  • 발행 : 2014.12.27

초록

Gartner는 2014년 10대 성장 동력 중의 하나로 사물인터넷(IoT)를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연초에 개최된 CES에서도 사물인터넷이 참석자들의 많은 주제거리로 등장하였다. Gartner는 2020년까지 연결된 기기의 수는 260억대, 총 경제 부가가치는 1조9,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에 대한 정의는 기관마다 다양하게 정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고 M2M, IoE와 같이 유사하게 혼용되어 쓰이는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전망에 대해 언급한 연구기관들의 전망치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사물인터넷이 급성장하고 10대 성장 동력에 선정되어짐에 따라 미국, 중국, 일본, EU,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에 대한 정책들이 어떻게 수립되고 추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서 주요기업들의 사물인터넷에 대한 최근의 전략들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에 따른 우리기업들과 정부의 대응책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Gartner mentioned IoT (Internet of Things) as one of the ten growth engines in the world in 2014. In addition, IoT has been frequently invited as a theme by participants at CES held in the early this year. Gartner predicts that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will reach to 26 billion and a total of economic value added will grow to 1.9 trillion dollars until 2020. The definition of IoT has been arranged in a different way by each institution. Therefore, this study arranged the concept of IoT which has been variously defined and used together with M2M and IoE. Further, forecasts presented by research institutions which stated domestic and foreign market outlook were collected and arranged. As IoT is on the uptrend and is selected as one of the ten growth engines in the world, it was found out how policies on IoT in the US, China, Japan and Korea were established and promoted as well as how recent strategies on IoT of major large companies have been carried out. Lastly,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of our government and companies we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