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youth through empirical study ab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family stress in the relationship of Oiettolie propensity and game addiction behaviors including bullies, social phobia and emotional instabi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a causal model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surveyed high school students for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Oiettolie propensity impacts on youth's game addiction and brings about game addiction behaviors like bullies, social phobia and emotional instability. Especially, this study shows that Oiettolie propensity impacts on social phobia most. Also, family stress has a moderating effects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is study presen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youth.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은둔형 외톨이가 인터넷 중독을 매개로 집단따돌림과 대인기피와 정서불안증과의 관계에서 가족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청소년의 지원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지역 고등학교 재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생의 은둔형 외톨이가 인터넷게임중독 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에서 은둔형 외톨이는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터넷게임중독 행태가 집단따돌림, 대인기피증, 정서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은둔형 외톨이 성향은 대인기피증에 가장 크게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로는 인터넷게임중독이 정서불안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행태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