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협력 작가 선택 요인

How to Select Art Collaboration Artists?

  • 이은애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신형덕 (홍익대학교 경영학부) ;
  • 유건재 (홍익대학교 경영학부)
  • 투고 : 2014.06.30
  • 심사 : 2014.08.14
  • 발행 : 2014.08.28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기업이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할 때에 있어서 협력 작가의 국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에 보도된 2005-2013년에 발생한 137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기업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국적인 국내 작가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선호하며, 그 중 내구재 제품에 대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외국 작가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즉 내구재일 경우 제품의 명성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협업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높은 명성을 가질 확률이 높은 외국 작가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what target (a nationality of an artist) firms select when they are engaged in art collaboration. We identified 137 cases of art collaboration between 2005 and 2013 through the analysis of news contents and we found that Korean firms prefer to artists whose nationality is same with that of those firms. In addition, such preferences disappear when the target of art collaboration is durable goods. This implies that Korean firms prefer to artists whose nationality is different from them in art collaboration because the collaboration with those artists help firms increase product reputation although a collaboration process is not favorable to those firms.

키워드

참고문헌

  1. H. Hagtvedt and V. Patrick, "Art infusion: The influence of visual art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5, No.3, pp.379-389, 2008. https://doi.org/10.1509/jmkr.45.3.379
  2. 주우진, 정보희, 김한구, "명화 차용 형태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1권, 제4호, pp.43-69, 2010.
  3. N. Jang, J. Hawley, and K. Dickerso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apparel product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Vol.93, No.2, pp.100-113, 2002.
  4. 김민정, 박은경, "트레이딩 업으로서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8권, 제3호, pp.79-94, 2008.
  5. 송현수, 최성훈, "독일 로젠탈社의 디자인매니지먼트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102-110, 2013.
  6. 김선희, "패션산업의 콜레보레이션 마케팅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46-52, 2011.
  7. 윤은영, 전달영, "제품과 아티스트 간의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충동구매성향의 조절효과가 콜레보레이션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45-366, 2012(10).
  8. F. Noseleit and D. P. Faria, "Complementarities of internal R&D and alliances with different partner typ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10, pp.2000-2006, 2013. https://doi.org/10.1016/j.jbusres.2013.02.025
  9. R. Gulati, "Alliances and network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9, pp.293-317,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804)19:4<293::AID-SMJ982>3.0.CO;2-M
  10. C. W. L. Hill, "Establishing a standard: competitive strategy and technological standards in winner-take-all industrie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1, pp.7-25, 1997.
  11. L. Dan, E. Lorraine, A. H. Michael, and R. D. Ireland, "Friends, Acquaintances, or Strangers? Partner Selection in R&D Allianc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1, No.2, pp.315-334, 2008. https://doi.org/10.5465/AMJ.2008.31767271
  12. D. C. Mowery, J. E. Oxley, and B. S. Silverman, "Technological overlap and interfirm cooperation: implications for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Research Policy, Vol.27, pp.507-523, 1998. https://doi.org/10.1016/S0048-7333(98)00066-3
  13. H. D. Shin and H. Lee, "Disentangling the role of knowledge similarity on the choice of alliance structure,"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Vol.30, pp.350-362, 2013. https://doi.org/10.1016/j.jengtecman.2013.08.003
  14. X. Luo and L. Deng, "Do birds of a feather flock higher? The effects of partner similarity on innovation in strategic alliances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Vol.46, pp.1005-1030, 2009.
  15. B. Cassiman and R. Veugelers, "In search of complementarity in innovation strategy: Internal R&D and external knowledge acquisition," Management Science, Vol.52, pp.68-82, 2006. https://doi.org/10.1287/mnsc.1050.0470
  16. K. Laursen and A. Salter,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 pp.131-150, 2006. https://doi.org/10.1002/smj.507
  17. 엄경희, 최유미,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유형별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33-144, 2012.
  18. 안혜신, "브랜드 수명주기에 따른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연구: 커피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제33권, pp.193-204, 2012.
  19. 정훈실, 김영인,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제58권, 제6호, pp.110-123, 2006.
  20. C. D. Mowery, E. O. Joanne, and S. S. Brian, "Technological Overlap and Interfirm Cooperation: Implications for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Research Policy, Vol.27, pp.507-523, 1998. https://doi.org/10.1016/S0048-7333(98)00066-3
  21. H. Krugman, "The Measurement of Advertising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0, No.4, pp.583-596, 1996
  22. 양윤, 이주현, 기분, 메시지 틀, 정보처리 유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석사학위논문, 2009
  23. 주선희,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추구성향 조절 효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7권, 제1호, pp.44-77, 2012.
  24. 엄경희, 이윤이나, "스포츠웨어 제품 디자인에 나타난 콜래보레이션 사례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pp.439-448, 2012.
  25. 주선희, 구동모, "소비자의 개인특성인 독특성 추구성향과 호기심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pp.326-35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