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Reading, Writing Fluency of the Underachieving Children and Stuttering Children and School-Aged Children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쓰기유창성 비교연구

  • 박진원 (대구보건대학교 언어재활과)
  • Received : 2014.04.02
  • Accepted : 2014.07.29
  • Published : 2014.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writing fluency of the underachieving children and stuttering children and school-aged children and frequency of errors. The participants were 15 underachieving children and 15 stuttering children and 15 school-age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ll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onduct reading, writing, speaking tasks. First, work for the reading tasks were different among the underachieving children and stuttering children and school-aged children. Second, writing task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the writing fluency, but it was lacking in accuracy, which is stuttering, speaking fluency as well as their language fluency is suggesting the need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 Third, this type of errors of writing tasks is showed higher levels of ommission, substitution, grammatical errors in the underachieving children group. The therapy of reading of stuttering also consider a treatment program that can be configured in the combined writing tasks.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말더듬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을 대상으로 읽기과업과 쓰기과업을 제시하여 유창성 및 오류 유형별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령기 말더듬아동, 학습부진아동, 일반아동을 각 15명 선정하여 읽기와 쓰기 과업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읽기과업의 오류유형은 생략, 대치, 반복, 삽입, 자기수정으로 분류하였고, 쓰기과업의 오류유형은 생략, 대치, 첨가, 문법오류로 분류하였다. 읽기유창성과 쓰기유창성을 비교한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읽기유창성은 모든 집단 간 유의하였으며, 쓰기유창성은 학습부진아동 집단이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오류유형별 특성으로 읽기오류는 생략, 대치, 반복, 자기수정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쓰기오류는 문법오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에 기초한 학습능력의 측면에서 말더듬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임상실제에서 장애유형에 적절한 보다 효율적인 치료프로그램을 고안하는데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도하, 신명선, 장현진, 김시영, 김효정, 박진원, 안종복, 전희숙, 정훈, 유창성장애, 학지사, 2012.
  2. D. P. William, 발살바 말더듬 치료[Understanding & controlling stuttering](권도하 역), 한국언어치료학회, 2004.
  3. W. H. Manning, Clinical decision making in fluency disorders, 2nd ed, Singular, 2009.
  4. P. Reed and Y. We, "Logistic regression in stuttering research,"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38, pp.88-101, 2013. https://doi.org/10.1016/j.jfludis.2012.09.003
  5. E. Yairi and N. Ambrose, "Epidemiology of stuttering: 21st century advance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38, pp.66-87, 2013. https://doi.org/10.1016/j.jfludis.2012.11.002
  6. 이수복, 임동선, 심현섭, "그림설명하기 상황에서 나타난 3-6세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정 특성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2호, pp.46-61, 2011.
  7. K. Kadi-Hanifi and P. Howell, "Syntetic analysis of the spontaneous speech of normally fluent and stuttering childre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17, No.2, pp.151-170, 1992. https://doi.org/10.1016/0094-730X(92)90008-E
  8. H. G. Bosshardt, "Effects of concurrent mental calculation on stuttering, inhalation and speech tim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24, pp.43-72, 1999. https://doi.org/10.1016/S0094-730X(98)00022-9
  9. B. Guitar,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Rose Tree Corporate Center, 1998.
  10. C. W. Starkweather, Fluency and stutte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7.
  11. E. M. Silverman and D. Williams, "A comparison of stuttering and on stutterng children in terms of five measures of oral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1, No.4, pp.305-309, 1974.
  12. 전희숙, 권도하, "말더듬 아동과 유창한 아동의 구문 특성 비교. 언어치료연구", 제7권, pp.129-147, 1998.
  13.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IV), 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2011.
  14. G. D. Riley,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Children and Adults-Third Edition, TX: PRO-ED, Copyright 1994, PRO-ED, 1994.
  15. 박경숙, 김계옥, 송영준, 정동영, 정인숙, 기초학력검사(KISE-BAAT), 국립특수교육원, 2008.
  16. 심현섭, 신문자, 이은주,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 파라다이스복지재단, 2004.
  17. 배성직, 쓰기 유창성 검사 지표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8. 박진원, 신명선, "속화성인과 일반성인의 읽기 난이도에 따른 읽기 유창성과 읽기 오류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3권, pp.145-164, 2012.
  19. 신명선, 장현진, 전희숙, 김효정, "말더듬 성인의 읽기, 쓰기 및 말하기 유창성 특성", 언어치료연구, 제19권, pp.53-69, 2010.
  20. G. Andrews, Epidemiology of stuttering, In R. F. Curlee and W. H. perkins(Eds.),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pp.1-12, CA: College Hill Press, 1984.
  21. 박진원, 권도하, "말더듬 성인의 심한정도에 따른 구어속도 특성 비교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1권, pp.129-146, 2010.
  22. P. H. Damste, Stotteren, Utrecht: Bohn, Scheltema & Holkema, 1984.
  23. N. G. Ambrose and E. Yairi, "Normative disfluency data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42, pp.495-509, 1999.
  24. 김애화, 박성희, 김주현,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pp.43-5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