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장벽 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Career Barriers Searching Program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윤 (위덕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 김인영 (위덕대학교 자율전공학부)
  • 투고 : 2014.06.30
  • 심사 : 2014.08.11
  • 발행 : 2014.08.28

초록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탐색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진로장벽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진로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한 학업 집중과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한 것이다. 진로장벽은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과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편견의 7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 중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32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장벽 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생들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발달을 어렵게 만드는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정도가 변화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적절한 개입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targeted at high school girls explore career barrier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Recognize and overcome barriers to careers in the process of setting and achieving career goals for the academic focus and the will to help school adjustment. Career barriers is composed of 7 sub-factors. There are lack of self-apprehension, lack of self-confidence, sex-role conflict and sex discrimination, disapproval by significant others, uncertainty about future, lack of career-related information and lack of financial support. The subjects participated voluntarily 32 girl's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he study conducted by career barriers for group counseling program studen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relaxed awareness of career barriers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carriers barriers explor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decrease the whole career barriers and four subordinate areas of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L. S. Gottfredson,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Vol.28, No.6, pp.545-579, 1991.
  2. L. F. Fitzgerald, R. E. Fassinger, and N. E. Betz, "Theoretical advances in the study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67-110, 1995.
  3.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5, No.1, pp.79-122, 1994.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4. J. 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 Graw-hill, 1969.
  5. J. L. Swanson and D. M. Tokar,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Behavior, Vol.38, No.1, pp.92-106, 1991.
  6.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1.
  7. N. E. Betz and L. F. Fitzgerald,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1987.
  8. L. F. Fitzgerald and J. O. Crites, "Toward a career psychology of women: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7, No.1, pp.44-62, 1980. https://doi.org/10.1037/0022-0167.27.1.44
  9. E. Matthews and D. V. Tiedeman, "Attitudes toward career and marriage and development of lifestyle in young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11, No.4, pp.374-383, 1964.
  10.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장애탐색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과 심리치료, 제14권, 제1호, pp.219-231, 2001.
  11. 김진숙, 이종희,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학 장벽", 상담학연구, 제4권, 제4호, pp.773-788, 2003.
  12. J. L. Swanson and K. K. Daniel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5.
  13. J. L. Swanson and D. M. Tokar,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9, No.3, pp.344-361, 1991.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43-L
  14. 강근모,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및 진로장벽 감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과 진로 장벽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11.
  15. H. S. Tien,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of Chinese career barriers invento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LA, 1998.
  16. N. E. Betz,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In W. B. Walsh & S. H. Osipow(Eds.), Career counseling for women, pp.237-261 Hillsdale, NJ: Erlbaum, 1994.
  17.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제6권, 제4호, pp.1205-1223, 2005.
  18. 김은희, 김봉환, "진로장벽 깨뜨리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 장벽인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2225-2239, 2009.
  19.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56-36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56
  20. 김종운, 박성실,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pp.209-230, 2010.
  21. 현수경,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일반계 여고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10.
  22. 이지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2009.
  23. 김현정, REBT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이 직업 전문학교 훈련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