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Utility of Acquisition of Oblique Views of Bilateral Orbit During the Dacryoscintigraphy

눈물길 조영검사 시 양측 안 와 사위 상 획득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Park, Jwa-W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Lee, Bum-He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Park, Seung-Hw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Park, Su-Yo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Jung, Chan-Wo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Ryu, Hyung-Gi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 Kim, Ho-Sh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 박좌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이범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박승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박수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정찬욱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류형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 김호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4.03.28
  • Accepted : 2014.04.21
  • Published : 2014.05.23

Abstract

Purpose: Diversity and the lachrymal duct deformities and the passage inside the nasal cavity except for anterior image such as epiphora happens during the test were able to express more precisely during the dacryoscintigraphy. Also, we thought about the necessity of a method to classify the passage into the naso-lachrymal duct from epiphora. Therefore, we are to find the validity of the method to obtain both oblique views except for anterior views. Materials and Methods: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78 patients with epiphora due to the blockage at the lachrymal duct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3. Average age was $56.96{\pm}13.36$. By using a micropipette, we dropped 1-2 drops of $^{99m}TcO4^-$ of 3.7 MBq (0.1 mCi) with $10{\mu}L$ of each drop into the inferior conjunctival fold, then we performed dynamic check for 20 minutes with 20 frames of each minute. In case of we checked the passage from both eyes to nasal cavity immediately after the dynamic check, we obtained oblique view immediately. If we didn't see the passage in either side of the orbit, we obtained oblique views of the orbit after checking the frontal film in 40 minutes. The instrument we used was Pin-hole Collimator with Gamma Camera(Siemens Orbiter, Hoffman Estates, IL, USA). Results: Among the 78 patients with dacryoscintigraphy, 35 patients were confirmed with passage into the nasal cavity from the anterior view. Among those 35 patients, 15 patients were confirmed with passage into the nasal cavity on both eyes, and it was able to observe better passage patterns through oblique view with a result of 8 on both eyes, 2 on left eye, and 1 on right eye. 20 patients had passage in left eye or right eye, among those patients 10 patients showed clear passage compared to the anterior view. 13 patients had possible passage, and 30 patients had no proof of motion of the tracer. To sum up, 21 patients (60%) among 35 patients showed clear pattern of passage with additional oblique views compared to anterior view. People responded obtaining oblique views though 5 points scale about the utility of passage identification helps make diagnoses the passage, passage delayed, and blockage of naso-lachrymal duct by showing the well-seen portions from anterior view. Also, when classifying passage to naso-lachrymal duct and flow to the skin, oblique views has higher chance of classification in case of epiphora (anterior:$4.14{\pm}0.3$, oblique:$4.55{\pm}0.4$).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if you obtain oblique views of the bilateral orbits in addition to anterior view during the dacryoscintigraphy, the ability of diagnose for reading will become higher because you will be able to see the areas that you could not observe from the anterior view so that you can see if it emitted after the naso-lachrymal duct and the flow of epiphora on the skin.

눈물길 조영검사 시 눈물기관 해부학적 구조의 다양성, 눈물길기형, 검사 중 발생하는 유루증과 같은 경우 전면상 외에 코 안으로의 배출을 좀 더 자세히 표현해낼 수 있으며, 유루증과 코 눈물관으로의 배출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았다. 이에 전면상 지연 촬영 외에 양측 안 와 사위상을 획득하는 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2013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눈물길폐쇄로 인한 유루증을 주소로 하는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는 $56.96{\pm}13.36$세였다. $^{99m}TcO4^-$ 3.7 MBq (0.1 mCi)을 $10{\mu}L$ 씩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양 안 하결막낭에 1-2방울 점안 후 1분 씩 20frame, 20분 간 동적 검사를 시행 하였다. 동적 검사 직후 양 안에서 코 안으로 배출이 확인되는 경우는 즉시 사위상을 획득하였고 어느 한쪽의 안 와라도 배출이 보이지 않는 경우 40분 뒤 전면상으로 확인 후 안 와 사 위상을 획득하였다. 검사 시 사용한 장비로는 Pin-hole Collimator를 장착한 Gamma Camera (Siemens Orbiter, Hoffman Estates, IL, USA)장비를 사용하였다. 실험대상 78건의 영상 중 전면상에서 코 안으로의 배출이 확인되었던 환자는 35명이었다. 그 중 양 안 모두에서 코 안으로 배출을 보인 환자는 15명이었고 양 안 8명, 좌 안 2명, 우 안 1명에서 사위상을 통해 보다 나은 배출 양상 관찰이 가능하였다. 좌 안 및 우 안에서 배출이 있었던 환자는 20명이었고 10명이 전면상에 비해 명확한 배출을 보여 주었다. 그 외 배출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13명이었으며 코 눈물관으로의 추적자이동이 보이지 않은 환자는 30명이었다. 기술통계 결과 총 35명 중 21명(60%)이 사위상 추가 촬영으로 전면상보다 뚜렷한 배출 양상을 나타내었다. 배출 감별유용성에 관한 Likert 5점 척도 blind test를 통해 사위상 획득이 전면상에서 자세히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 줌으로써 배출 유무 확인이나 배출 지연, 코 눈물관 폐쇄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유루증 발생시 코 눈물관으로의 배출과 피부로의 흘림을 구별할 때 사위상이 전면상에 비해 구별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전면상:$4.14{\pm}0.3$, 사위상:$4.55{\pm}0.4$). 눈물길 조영검사 시 양측 안 와 사위상을 전면상 이외에 추가적으로 획득한다면 전면상에서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는 영역의 검사가 가능하여 코 눈물관 이후로의 배출 유무를 확인하고 피부에서 유루증의 흐름을 코 눈물관과 구별하는 데 용이하기에 판독의 진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