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변증 진단 체계 개발 및 응용 연구 분석 -한방 비만변증을 중심으로-

  • Park, Jung-Sik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Song, Yun-Kyu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Hwang, Eui-Hyoung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ung, Won-Suk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Park, Won-Hyung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Cha, Yun-Yeop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Shin, Seung-Woo (Kangnam Kyunghee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linic) ;
  • Park, Tae-Yong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Jang, Bo-H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Ho-Jun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o, Seong-G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박정식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송윤경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황의형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정원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박원형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차윤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신승우 (강남경희 한방재활의학과 한의원) ;
  • 박태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장보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고성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4.03.18
  • Accepted : 2014.04.07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internal research trends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in korean literature based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 to help solve problems of future researches. Methods 6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irrespective of publication year and 13 studies were reviewed. An analytical method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actual number and percentage was used. Results We collected 13 studies. 4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2 and 2008,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7 Clinical studies were the major research method. The Stud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5 studies were about research of analysis and improvement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the most number of studies. 4 studies were about research of observational studies in clinical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3 studies were about research of intervention studies in clinical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and 1 study was about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 Conclusions Establishment of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could lead to standardizing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pplied on other diseases,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 could also lead to improving treatment rat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cademic field of research.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수, 임정화, 이민희, 윤영주. 한국한의학연구원 개발 변증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3; 17(1):29-43.
  2. 최선미,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한의학 정책 및 기초의료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5;1:201-35.
  3. 양기상, 최승훈, 최선미, 박경모, 정우열, 안규석, 엄현섭, 김성훈, 전병훈, 김정범, 권영규, 박종현, 김동희, 장혜욱, 김성우, 신승호, 신상우, 고현.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표준화실례).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6; 2:381-401.
  4. 최선미, 양기상, 최승훈, 박경모, 박종현, 심범상, 김성우, 노석선, 이인선, 정진홍, 이진용, 김달래, 임형호, 김윤범, 박성식, 송태원, 김종우, 이승기, 최윤정, 신순식.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3;321-46.
  5. 김숙경, 박영배. 한열변증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3;7(1):64-75.
  6. 조혜숙, 배경미. 한열허실 변증진단 설문지의 개발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288-93.
  7. 박재성, 양동훈, 김민용, 이상철, 박영재. 담음변증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10(1):64-77.
  8. 양동훈, 박영재, 박영배, 이상철. 어혈변증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10(1):141-52.
  9. 최승훈. 인터넷 기반 한의진단전문가 시스템(KHU-PIPE) 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3):528-31.
  10. 주형진. 한의 진단 전문가 시스템. 서울:고려대학교. 2000.
  11. 강효신.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한의 진단의 객관화에 관한 연구. 대구:대구한의대학교. 1998.
  12. 이인선, 이용태, 지규용, 김종원, 김규곤. 한방진단시스템과 진단의 간의 진단일치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359-67.
  13. 이인선, 김규곤. DSOM (2005).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C)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 http://www.dsom.or.kr.
  14. 김규곤. 이산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방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99;1(1):15-27.
  15. 신현수, 강병갑, 안정조, 유호룡, 김윤식, 설인찬, 조현경. 중풍환자의 5개 변증과 혈중지질의 상관관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5):883-91.
  16. 강병갑, 선승호, 강경원, 조기호, 이인, 설인찬, 최선미. 중풍환자의 기허변증 진단 기준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6):1581-5.
  17. 강병갑, 선승호, 이정섭, 김소연, 최선미, 고미미, 김정철, 방옥선. 중풍환자의 화열변증 진단 기준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486-90.
  18. 강경원, 고호연, 강병갑, 김정철, 고미미, 김보영, 설인찬, 이인, 조현경, 최선미. 중풍환자의 음허변증 진단 기준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6):1655-9.
  19. 김한중. 중풍환자의 한방변증진단 표준화 연구. 서울:경희대학교. 2009.
  20. 강지선. 중풍 변증 유형에 따른 처방 사용에 대한 연구 보고. 대전:대전대학교. 2008.
  21. 이정섭, 김소연, 강병갑, 고미미, 김정철, 오달석, 김노수, 최선미, 방옥선. 전문가 변증과정을 반영한 중풍 변증 판별 모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460-4.
  22. 강병갑, 이정섭, 김소연, 최선미, 고미미, 김정철, 권세혁, 방옥선. 중풍 변증진단을 위한 판별모형개발(IV).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9;11(6):2995-3007.
  23. 박세욱, 강병갑, 장인수, 홍석, 한창호, 권정남, 선승호, 전찬용, 조기호, 박세진, 이인, 설인찬, 최선미. 다기관 임상연구를 통해 도출된 중풍변증표준안의 진단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1. 대한한의학회지. 2007;28(3):126-37.
  24. 박대명, 이상룡, 강위창, 정인철. 驚悸怔忡변증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21(2):1-15.
  25. 안민윤. 만성 요통 변증 설문지 개발을 위한 전문가 Delphi 조사. 경기:가천대학교. 2013.
  26. 허은정. 치매의 한열허실 변증을 위한 지표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 익산:원광대학교. 2013.
  27. 이인선, 배경미.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진단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2):189-208.
  28. 김미보, 변석미, 신상호, 고우신, 윤화정. 한방 진단 시스템(DSOM)를 통한 耳鳴 환자와 건강대조군의 변증 비교분석.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37(3):166-83.
  29. 이인선, 조혜숙, 윤현민, 정경근, 김규곤, 박지은, 최선미. 한방진단시스템 DSOM의 진단결과에 따른 월경통 환자의 허실 진단에 대한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7;10(1):137-56.
  30. 김민규, 허정은, 박선미, 최한나, 이인선, 김봉현, 강연경. 교통사고 환자의 한방 변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 한방 진단 시스템(DSOM)을 통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1):245-50.
  31. 이동화, 김보경.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와 한방진단시스템 病機와의 연관성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 21(1):89-108.
  32. 유진숙, 송윤경, 임형호. 한국 비만치료에 사용된 변증 유형에 대한 연구논문 고찰. 경원대학교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2009;13:105-16.
  33. 박경선, 유승연, 박영재, 이창훈, 조정훈, 장준복, 이경섭, 이진무. 20-40대 여성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한방변증지표의 특성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1;11(1):25-34.
  34. 이형철, 최영민, 심우진, 김길수, 최선미, 강병갑, 신승우. 비만환자의 담음변증(痰飮辨證)과 복부내장지방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6;6(1):51-9.
  35. 이아라, 정원석, 정석희, 송미연. 서울지역 여고생의 국소지방 침착의 양상과 변증과의 연관성.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2):45-59.
  36. 조성민, 김덕곤. 초등, 중학교 비만 아이들의 韓醫學的 氣, 血, 水 辨證 분석.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3):1-15.
  37. 문진석, 강병갑, 류은경, 최선미. 한의사와 환자의 설문 응답을 통한 비만 변증에 대한 주요 지표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55-69.
  38. 문진석, 강병갑, 강경원, 심우진, 신미숙, 최선미. 전문가가중치 부여를 통한 비만변증설문지 적용.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8;8(1):51-61.
  39. 문진석, 강병갑, 류은경, 최선미. 한의사와 환자의 설문을 통한 비만 변증지표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 55-69.
  40. 강병갑, 문진석, 최선미. 비만변증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13(1):109-14.
  41. 강경원, 문진석, 강병갑, 김보영, 김노수, 유종향, 신미숙, 최선미. 비만의 변증 진단을 위한 판별모형.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8;14(2):41-6.
  42. 강경원, 문진석, 강병갑, 김보영, 신미숙, 최선미. 한방비만병증 설문지를 바탕으로 증상 척도에 따른 변증진단 비교.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9;9(1):37-44.
  43. 조유정, 이아라, 황미자, 송미연. 비만 및 과체중 성인 여성에서 한방비만변증과 생활 습관 및 심리적 요인 간의 상관 관계.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1;11(2):15-24.
  44. 황미자, 문진석, 박경수, 송미연. 과체중 및 비만 성인 여성의 비만변증 설문 결과 분석.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8;8(2):63-72.
  45. 김은주, 이아라, 황미자, 조재흥, 최선미, 정석희, 송미연. 비만여성에서 내장지방과 한방비만변증의 연관성.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279-88.
  46. 정원석, 황미자, 이아라, 문진석, 최선미, 송미연. 폐경 전 및 갱년기 과체중 한국 성인 여성의 변증 지표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8;8(2):37-47.
  47. 권동현, 이명종, 임지연, Shambhunath Bose, 이수진, 김호준. 비만 여성에서 한방 비만 변증에 따른 홍삼의 비만 개선 효과 :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1;11(1):1-14.
  48. 이지은, 송윤경, 임형호. 비만환자에 대한 防風通聖散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0;10(1):1-16.
  49. 박정현, 이명종, 김호준, 홍선우, 이동기, 유재욱, 최선미, 문진석, 임지연, 이정복. 비만 환자에서 한방 비만 변증에 따른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의 치료효과 및 부작용 비교: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256-78.
  50. 박정현, 김호준. 비만치료 및 체중 감량에서 방풍통성산과 방기황기탕 사용에 대한 임상 권고안.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2;12(1):4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