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자녀를 둔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 지원 양태(樣態)와 그에 따른 삶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hildrearing by Grandmothers in Dual-Earner Families

  • 안희란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복지전공)
  • An, Heelan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Gwangju University) ;
  • Kim, Seonmi (Dept. of Family Welfare, Gwangju University)
  • Received : 2014.06.12
  • Accepted : 2014.06.20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grandchild-rearing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se children are part of dual-earner couples. Twelve participants provided in-depth interview data that were analysed according to Spradely's ethnographic method. We present three main themes in our research, as well as ten smaller themes: (i) the grandchild-rearing mo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the child, the grandchild, and the grandmother); (ii) the mode of grandchild-rearing support (residential, total weight of childrearing support, availability of a daycare center); (iii) the change in the grandmother's way of life (positive changes and negative chang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egrity of the grandmother's identity as their productivity increases through providing grandchild-rearing support. It also looks at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policies that support their burdens according to the level support they provide.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종(2010). 사회복지행정. 서울 : 학지사.
  2. 정옥분(2008).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 학지사.
  3. 강유진(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 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4. 김문정(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 간호학회지, 37(6), 914-923.
  5. 김문정.정재원(2010). 공동양육 조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경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137-153.
  6. 김은정.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177-213.
  7.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8. 배진희(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육형 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9. 백경흔(2009). 손자녀 돌봄 경험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신체 및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 여성건강 : 다학제적 접근, 10(2), 87-112.
  10. 오진아(2006). 취업모 가정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아동간호학회 ,12(3), 368-376.
  11. 이은희.하주영.이정란.황은희 (2009). 맞벌이 자녀를 둔 조모의 손자(녀) 돌봄 경험. 질적연구, 10(1), 1-13 .
  12. 이지연.김원경.정경미(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노년학, 29(2), 441-458.
  13. 이재림(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14. 이현수(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심리적 체험연구. 질적연구, 8(1), 67-78.
  15. 원서진(2011).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세대 가족과 비3 세대 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33-56.
  16. 정재원.김문정(2010).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88-296.
  17. Erikson, E. H. , Erikson, J. M. & Kivnick, H. Q. (1986). Vital involvement in old age. New York : Norton.
  18. Lincoln, Yvonna. & Guba, Egon.(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 Neugarten, B. L . & Neugarten, D. A.(1986). Changing meaning of age in the aging society. In A. Pifer & L. Bronte(Eds.), Our aging society: Paradox and promise. New York: Norton.
  20. Papalia, D. E., Olds, S. W. & Feldman, R. D. (1989). Human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21. Santrock, J. W.(1997). Life-span development (6th ed.). McGraw-Hill.
  22. 주간조선(2014). 손주돌보미 서초구가 하면 유행이 된다. 2014. 3. 4.
  23. 삼성경제연구소(2010). 2010년 국내 맞벌이 부부 대상 조사. 삼성경제연구소.
  24. 통계청(2012). 2012년 맞벌이가구 통계 집계 결과. 통계청.
  2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 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