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eriphyton Diatom Species: A Case Study of Achnanthes convergen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수계 청수성 부착조류의 공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chnanthes convergens 를 사례로

  • Jo, Myung-Hee (School of Convergence & Fusion System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Byun, Myeung-Sub (Water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Sim, Jun-Seok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 C&I Co., Ltd.) ;
  • Jang, Sung-Hyun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 C&I Co., Ltd.)
  • 조명희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 변명섭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팀) ;
  • 심준석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장성현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4.07.11
  • Accepted : 2014.09.22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chnanthes convergens, and elucid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Periphyton diatom habitat. Data in 250 points of Nakdong river basin are collected between April(primary) and September(secondary) 2012,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s support. We define "clean area" over 10% of Achnanthes convergens appearance, and the others as "non-clean areas". Spatial statistics of Kriging, Hotspot, LISA a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1) 56 points are identified as clean areas in the primary survey, while 41 points are discovered in the following survey; 2) using water quality variables, density of turbidity(clean $101.83{\mu}s/cm$; non-clean $598.48{\mu}s/cm$) and conductivity(clean 1.95 NTU; nonclear 5.58 NTU) are five-fold lower in clean-areas; 3) Habitat and Riparian Factors in Nakdong basin illustrate that natural sand bar, diversity of velocity, sediment condition, levee material, riverside land affect Achnanthes convergens; 4) Hotspots of Achnanthes convergens are located in watersheds, including upper Andong Dam, upper Imha dam, Wi-cheon, Miryang river, Nam river and Hwang river whereas mainstream/downstream of Nakdong river and Keumho river watershed are shown as coldspots.

본 연구는 낙동강 수계 내 청수성 부착조류(Achnanthes convergens)의 분포 특성을 기반으로 이들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서식 수변 요인 등을 규명함으로 실제적인 보전, 복원에 대한 기준 또는 준거 등의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V)' 사업 자료 중 낙동강 대권역의 총 25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12년 4월(1차)과 9월(2차)에 구축된 부착조류 및 이화학적 요인, 서식 수변환경 등의 결과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각 환경요인들의 결과들을 연계시켜 Kriging, Hotspot, LISA 등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조사구간별 Achnanthes convergens의 출현이 10% 이상인 지점을 청정수역으로 구분하여 그 외 지역(비청정수역)과의 공간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낙동강 대권역 250개 구간 중 청수성 부착조류인 Achnanthes convergens가 10% 이상 우점종으로 출현한 구간은 1차 조사에서는 총 56개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2차 조사에서는 다소 적은 지점인 41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청정수역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표들이 청정수역에 비해 비청정수역에서 더 악화된 수질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전도도(청정수역: 평균 $101.83{\mu}s/cm$, 비청정수역: 평균 $598.48{\mu}s/cm$)와 탁도(청정수역: 평균 1.95NTU, 비청정수역: 5.58NTU) 등은 최대 5배 이상 악화된 수질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대권역 내 청정수역의 서식 수변 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연적 종횡사주, 유속 다양성, 저질상태, 제방하안재료, 제외지 토지이용 등이 지표생물인 청수성 부착조류 Achnanthes convergens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Hotspot 및 LISA 분석을 통해 Achnanthes convergens 높은 출현을 보여 청정수역으로 구분된 안동댐 상류, 임하댐 상류, 위천, 밀양강, 남강, 황강 등의 유역들은 Coldspot 및 LL 등급으로, 낙동강 본류 및 하류, 안동댐 하류, 금호강 유역 등은 Hotspot 및 HH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erg, L. van den and L.H. Klasen. 1987. The contagiousnes of urban decline. In: L. van den Berg, L.S. Burns and L.H. Klasen(Eds). Spatial Cycles. Aldershot: Gower. p.84-99.
  2. Ecoriver21. 2011. Integrated river restoration manual. Ministry of Land, Infrestructure and Transport (에코리버 21 연구단. 2011. 하천복원 통합매뉴얼. 국토교통부).
  3. Hwang S.J., S.W. Lee and Y.S. Park. 2011. Editorial: ec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and restoration of running water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S1-S2. https://doi.org/10.1051/limn/2011001
  4. Jo. M.H., S.H. Lee, H.L. Choi and S.H. Jang. 2013.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89-203 (조명희, 이수형, 최희락, 장성현. 2013.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을 위한 GIS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 189-20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189
  5. Kim, H.Y. 2010. A geostatistical approach for improved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138-147 (김호용. 2010.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6. Kim, M.K., H.J. Kim and J.C. Park. 2008. Development of the GIS-based stream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ssessment system for small and midium-size strea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김만규, 김혜주, 박종철. 2008. GIS 기반 중.소규모 하천의 수문지형 물리적 구조 평가 체계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93-107).
  7. Lee, S.W., S.J. Hwang, J.K. Lee, D.I. Jung and Y.J. Park. 2011. Overview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NAEMP)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S3-S14. https://doi.org/10.1051/limn/2011016
  8. Seo, J.W. 2010. Stream health assessment with multi-level bioindicators on fish in the gap stream, the 1st tributary of Geum Riv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rionment pp.575-576 (서진원. 2010. 금강 제1지류인 갑천에서 어류의 다단계 생물지표를 이용한 하천건강성 평가. 한국물환경확회, 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575-576쪽).
  9. Seo, K.M., H.Y Kim, S.H. Lee and T.H. Kwon. 2014.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14 (서경민, 김호용, 이성호, 권태호. 2014.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2):1-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2.001
  10. Sim. J.S., H.Y. Kim, K.W. Nam and S.H. Lee.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1):67-79 (심준석, 김호용, 남광우, 이성호. 2013.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1):67-79).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1.067
  11. Sohn. H.K., and K.H. Park. 2008. Aspatial statistical method for exploring hotspots of house price volatil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3):392 -411 (손학기, 박기호. 2008. 부동산 가격 변동 핫스팟 탐색을 위한 공간통계기법. 대한지리학회지 43(3):392-411).
  12. Song, D.H., S.J. Lee, Y.Y. Kim, H.S. Kim and U.H. Jung. 2008. Strategies for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Chungcheonam-do linked with GIS.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113pp (송동하, 이상진, 김영일, 김홍수, 정우혁. 2008. GIS와 연계한 충청남도 물통합관리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113쪽).

Cited by

  1. Health Assessment of the Nakdong River Basin Aquatic Ecosystems Utilizing GIS and Spatial Statistics vol.18, pp.2,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2.174
  2. 13C 추적자를 이용한 팔당호 수변역 부유 및 부착조류의 일차생산력과 광합성 색소 생산속도 연구 vol.52, pp.3, 2014, https://doi.org/10.11614/ksl.2019.52.3.202
  3. 우포늪의 홀로세 동안 퇴적환경 변화 및 돌말류 분포 특성 vol.53, pp.2, 2014, https://doi.org/10.11614/ksl.2020.53.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