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베이징 공공장소 쓰레기 분리수거함 디자인 개발 연구

Research on Designing and Development of Sortable Trash Can in Public Spaces of Beijing

  • 전호 (동서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강범규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
  • 투고 : 2014.05.23
  • 심사 : 2014.07.08
  • 발행 : 2014.09.28

초록

제품을 디자인 할 때는 제품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의 역할까지 고려해 사용 환경 및 경험까지 반영함으로써 제품의 역할과 사용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디자인 역시 단순히 색채, 외형, 소재뿐만 아니라 사용과정 및 사용경험까지 두루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베이징 공공장소의 쓰레기 분리수거함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진행방법으로, 첫째,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개념을 정의하고 베이징시의 쓰레기 분리수거 시행의 의의 및 현재 추진 중에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 장려정책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캠퍼스에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베이징시의 쓰레기 분리수거 현황과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사용자의 심리적인 요구사항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향후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Product design should reflect environment and experience of use in consideration of product's role as well as roles in life. In doing so, it is expected to realize interaction between product's role and users. Therefore, design of a recycling bin should also consider not only colors, shape, or materials but also process and experience of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public recycling bins in Beijing. As for the study method, first concept of a recycling bin was defined while specifying significance of recycling in Beijing City. Also, advanced research on recycling related polici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was carried out. Second, current status of recycling in Beijing and problems of recycling bins were analyzed through on-campus survey. Lastly, users' psychological demand on a recycling bin was assessed and analyzed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 of recycling bin design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윤호, 가로변 공공주택의 자원 재활용 분리수거함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4.
  2. 전호, 강범규, 김성현, "인간공학(ergonomics)의 손전등 디자인에의 응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p.257, 2013.
  3. 정미정, 가로변 재활용 분리수거시설의 그래픽 디자인 적용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4.
  4. 최희정, 가로변 쓰레기 분리수거함의 실효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방향 연구, 동서대학교, 2007.
  5. DENG Jun, "Investigation of Waste Collection Acting Management in the Community of Beijing," Environmental Science학회논문집, Vol,34, No.1, p.395, 2013.
  6. DONG Yuan,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Domestic Waste Sorting in Beijing Haidian District," Environmental Sanitation Engineering 학회논문집, Vol.08, No.6, p.55, 2008.
  7. http://baike.baidu.com/view/160814.htm.
  8. JA Zihui, Study Classification and Disposal of Municipal Solid Waste in Beijing, Beijing Forestry University, 2011.
  9. QI Hui, Study Emotional Design of Categories Trash, Beijing Forestry University, 2011.
  10. SUI Yumei, "Estimating the Collocation of Separated-Waste Containers in Demonstration Communities for Solid Waste Separation in Beijing," Acta Scientiarum Naturalium Universitatis Pekinensis학회논문집, Vol.09, No.09, p.55, 2009.
  11. XU Ruiling, From the Change of Design to Change Behavior,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2013.
  12. ZHANG Haolan, Study on MSW Classified Collection Model of Tourist City,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