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Preference to Bathroom Color Scheme between Elderly Residents and Young Adults of Cohabiting Family

Aging in place를 위한 욕실배색선호에 관한 비교연구

  • 김혜신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박수빈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4.07.31
  • Accepted : 2014.09.30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As to the people who tend to staying in their own community of the elderly, "aging in place" has appeared as a residential concept in the recent years. The current housing and its facilities, however, are mostly not in a condition enough to support the senescence of the elderly. The Bathroom is an indispensable space related to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as well as a space with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riteria of bathroom color design for the elderly and their cohabiting families. Survey research followed by literary review were conducted, and the subjects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e old ones aged from 65 to 85, and the young ones aged from 20 to 40 answered the questionnaire with the printed images of 3D modeling composed of four analogous and eight complementary color schemes by R, Y, G, and B colors and Vp-, Dp-, and Dl-t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nalogous color schemes of R and G colors were preferred in both the elderly and the young adult groups, while B color scheme was least preferred by the same; (2) Both the elderly and the young adult groups preferred 'R/Vp-G/Dp' complementary color schemes; and (3) The elderly group preferred 'R/Vp-G/Dl-G/Dp,' while the young adult group favored 'G/Vp-R/Dl-R/Dp' complementary color schemes for the safety bars in the bathroom.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연, 아파트 욕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치수 및 가구배치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0.
  2. 김영인, 한소원, 김희연, 홍윤정,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과 선호 유사배색의 특성, 한국색채학회지 25(3), 2012, p.p.67-76
  3. 김지민, 고령사회를 위한 욕실공간 가구 및 제품 디자인의 방향,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12.
  4. 김한수, 고령화 사회에 따른 자립형 노인 주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5.
  5. 박유선, 노인세대의 색채 감정반응에 따른 선호도와 이미지 평가방법, 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 박희면, 미국 양로시설 실내의 색채적용 평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41, p.p.215-226 2003.
  7. 송춘의, 김문덕,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 20 No.3, 2007. 5. p.p.247-256
  8. 유종옥, 노인주거 복지시설의 안전사고 요인 분석을 통한 시설기준 제안에 관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2012.
  9. 장경미, 실내 색채계획을 위한 노인의 색지각 및 선호배색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2005.
  10. 정선희,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노인전문병원의 실내디자인을 위한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6.
  11. 조성희, 이은주, 연령에 따른 선호색채와 선호배색특성 비교연구:청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3호, 2008, p.p.102-110
  12. 조성희, 장경미, 실내색채계획을 위한 노인의 색지각 및 선호배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15권 1호, 2006, p.p.147-157
  13. 최성재, 장인협,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14.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3.09
  15. 홍이경, 오혜경, 예비노인층의 노인공동생활주택 실내마감재 및 색채에 대한선호,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5), 2005 p.p.167-176
  16. 橋本公克.吉田あこ, 高齢化の色彩誤認の実態調査-その2 混合色で黄味增率减の場合, 日本建築学会講演楄槪集(北陸), 1992
  17. Boettner, E. A. and Wolter, J. R., "Transmission or the ocular media", Invest. Ophthal. 1, 1962, 776-783.
  18. Cooper, B.,A., Ward, M., and et al, The use of the Lanthony new color test in determining the effects of aging on color vison.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46, 1991
  19. (주)IRI 통상산업부 보고서, 한국인의 색채감성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97.
  20. Linksz, A, The Farnsworth pannel D-15 test.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62 No.1, p.p.27-37, 1966. https://doi.org/10.1016/0002-9394(66)91673-4
  21. Mullickm A., Universal Bathroom. In Preser, W.F.E and Ostroff, E. (Eds.), Universal Design Handbook, McGraw-Hill, New York, 2001, p.p.1.3-31.21.
  22. Pokorny, J., Smith, V. C. and Lutze, M., "Aging of the human lens", Applied optics 26, 1987, 1437-1440. https://doi.org/10.1364/AO.26.001437
  23. Weale, R. A., Aging and vision, Vision Res. 26, 1986 p.p.1507-1512. https://doi.org/10.1016/0042-6989(86)90170-7
  24. Woo, G. C., Lee, M, Are ethnic differences in the F-M100 scores related to macular pigmentation?. Clinical and Expermental Optometry, Vol. 85,No.6, 2002, p.p. 372-377 https://doi.org/10.1111/j.1444-0938.2002.tb02388.x
  25. 吉田あこ.橋本公克, 高齢化の色彩誤認の実態調査-その1 黄一色で黄味率减の場合, 日本建築学会講演楄槪集(中國),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