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t Delphi Survey 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s for Developing a Music Gifted Curriculum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육목표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9.28
  • Accepted : 2014.10.24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nd validate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subjects for developing a music gifted curriculu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music gifted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19 educational goals and 18 subject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music gifted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To validate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subjects,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wice with 26 expert panelists in the field of music, music education and music gifted education. Delphi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mean, content validity ratio, and the degree of consensus. The final set of educational goals for music gifted education included 6 skills related goals, 4 creative expression related goals, 4 knowledge related goals, and 2 attitude related goals. The final set of subjects included 4 major-specific subjects, 5 foundational subjects, 4 theory-related subjects, 3 integr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related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develop a music gifted curriculum by providing ideas for deciding what to teach and why to teach in music gifted education.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음악영재 교육목표와 교과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해외 음악영재기관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기능영역(청각관련기능, 연주관련기능), 창의표현영역(창의적 표현력), 지식영역(음악인지 능력과 관련학문능력), 태도 영역(태도)의 총 19개 교육목표와 전공실기, 기초실기, 이론, 통합 및 사회활동 영역의 총 18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교육목표 및 교과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음악, 음악교육 및 음악영재교육 전문가를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는 평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와 합의도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최종 확정된 교육목표는 6개의 기능영역 목표, 4개의 창의표현 영역 목표, 4개의 지식영역 목표, 그리고 2개의 태도 영역 목표로 구성되었고, 교과목은 4개의 전공실기 교과목, 5개의 기초실기 교과목, 4개의 이론 교과목, 3개의 통합 및 사회활동 교과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영재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2. 김경자(2000).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3. 김성혜(2012). 음악영재교육과정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음악이론연구, 19, 140-178.
  4. 김환남, 이영주(2012).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41-1250.
  5. 백경미(2012). 한국 미술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기초조형학연구, 13(3), 153-161.
  6. 오레지나(2008). 무용영재교육과정의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9(1). 한국무용교육학회
  7. 원영실(2013). 예술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음악, 전통예술, 발레 분과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6), 919-94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919
  8. 이경진, 최진영, 최나영(2013). 예술영재학교의 전공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조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9.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미경(2010). 교육청 중심 음악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음악교육연구, 39, 157-182.
  11. 이미경, 강병직(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3. 정진원(2008). 음악재능의 이해와 발견. 예술교육연구, 6(2), 73-83.
  14. 정진원(2011).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40(1), 1-31.
  15. 정진원(2012). 음악영재성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모형연구. 한국초등교육, 23(1), 269-291.
  16. 조성기(2011).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음악교육공학, 12, 1-15.
  17. 한수연 외(2006). 예술영재교육과정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8. Alabama School of Fin Arts. (2013). Curriculum Guide and Course Catalog. Retrieved from 2014. 4. 14, http://www.asfa.k12.al.us/pdf/Curriculum%20Catalog.pdf
  19. Csikszentmihalyi, M.(2003).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원본출간년도: 1996).
  20.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21.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 recognizing and developing musical tal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2. Kay, S. L., & Subotinik, R. F. (1994). Talent beyond words: Unveiling spatial, expressive, kinesthetic and musical talent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38(2), 70-74.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204
  2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4. Renzulli, J.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A twenty-five year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3(1), 3-54. https://doi.org/10.1177/016235329902300102
  25.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Van 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6).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3rd ed.). Boston, MA: Allyn & Bacon.
  27. Royal Academy of Music, Junior Academy (n.d.). Retrieved May 23, 2014 from http://www.ram.ac.uk/jram
  28. Julliard Pre-College (n.d.). Retrieved May 13, 2014 from http://www.juilliard.edu/youth-adult-programs/juilliard-pre-college
  29. Yehudi Menuhin School. (n.d.). Academic. Retrieved April, 20, 2014 from http://www. yehudimenuhinschool.co.uk/school/aca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