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Veterans' Perception of Old age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Plan

예비 전역자의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양태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4.08.08
  • Accepted : 2014.09.22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the old age life effect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plan for veterans who are somewhat isolated from our society in spit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old age plan due to the rapid population aging society in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re rank, level of education, religion,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in old age life plan in two parts(economic, leisure), whereas only property in physical part ha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indicates the result was reflected by the character of military. The study on how veterans' perception of the old life affects the old age plan applied two contrasting factors - 'the successful perception of old age life' and 'the perception of expected matters in old age'. That represents those factors(economic, leisure) made positive effects on preparation for old age plan, but not in physical part. 'Expected perception of matters' made regulation effect, but 'success of old age perception' didn't in terms of regulation effect of learning activity as part of the veteran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본 연구는 급속한 한국의 인구 고령화로 노후설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다소 소외되어 있는 군인을 대상으로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2개 영역(경제적 여가)의 노후설계준비에서 계급, 학력, 종교, 가정구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체적 영역에서는 재산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군 특성이 반영된 결과를 나타냈다. 예비 전역자의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연구에서는 노후생활인식을 '성공적인 노후생활의 인식'과 '노후에 예상되는 문제점 인식'으로 상반된 개념의 두 가지 요인을 적용한 결과, 이들은 2개 영역(경제적 여가)의 노후설계준비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나 신체적 영역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직지원교육 학습활동의 조절효과는 노후생활인식 중 '예상되는 문제점 인식'에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성공노년 인식'요인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희, 직업군인의 노후복지제도 개선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정재극, "직업군인의 노후대비실태에 관한 고찰", 융합보안 논문지, 제13권, 제2호, pp.185-193, 2013.
  3. 정헌영,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지원정책의 발전방향", 국방연구, 제50권, 제1호, pp.201-223, 2007.
  4. 배문조, "중년기의 성공적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노후생활 준비의식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5-61, 2011.
  5. 육군본부, "제대군인 삶의 실태 조사결과", 2005.
  6. http://www.mps.go.kr/milpen/renewal
  7. 국방부, '14년도 전직지원교육지침, 2014
  8. 최상일, 강정규,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0권, 제2호, p.169, 2012.
  9. 김혜진,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64, 2012.
  10. 이준우 외2명, "한국 노인의 노후생활에 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지, 제31권, 제3호, p.718, 2011.
  11. 이해근,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예비노인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1-100, 2006.
  12. http://www.100senuri.go.kr:4433/page.jsp?mCode =A0768
  13.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 12권, 제4호, pp.245-262, 2012.
  14.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328214
  15. Birren,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1977.
  16. 정종보, 생애발달(노화) & 노후설계론, 2013.
  17. J. W. Rowe and R. L. K Kahn,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Vol.37, No.4, pp.410-433, 1997.
  18. 홍석태,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9. Leitner,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1985.
  20. 홍숙자, 노년학 개론, pp.294-297, 2011.
  21. R. A. Neo, Train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6
  22. 박지선, 사회복지사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카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3. 김정임, 20대 청년층의 노후인식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4. 김남순, 중년층 노동자의 노후설계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5. 오경숙,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노후생활인식 및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박희정, 기업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직업 존중감과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7. 김진영, 교육훈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1.
  28. Aiken, Leona S. and Stephen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1.
  29.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7/18
  30. 국방부, 전역장병을 위한 국방취업가이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