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SR o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Job-esteem

CSR이 조직신뢰와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7.22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esteem in the Hotel.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3 hypotheses were derived and a regression model and AMOS was propos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degree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contributional responsibility have on active organizational trust positive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job-esteem, only contributional responsibility affected intrinsic value and economic responsibility affected social reput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esteem, organizational trust had positive influence on intrinsic value and social reputation. In summary, the contributional responsibility among CSR was the key factors that affected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and job-esteem directly or indirectly. We could lead employee's positive attitude as active charity and a portion of sale by returning to society. Therefore, Hotel should be improved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with CSR consistantly and implemented policy that increase job-esteem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호텔 종사원의 조직신뢰 및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회귀분석과 AMOS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윤리적 책임과 기부적 책임정도가 높을 수록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과 직업존중감과의 관계에서, 기부적 책임은 내재적 가치에, 경제적 책임은 사회적 평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신뢰와 직업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내재적 가치와 사회적 평판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약하면, 호텔의 CSR중 기부적 책임이 종사원들의 조직신뢰와 직업존중감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으로, 적극적 자선활동과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종사원의 긍정적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호텔은 일관된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종사원들의 조직신뢰를 향상시키고 직업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 E. Clark, "Difference between public responsibility: Evolution of a definitinal construct," Business and Society, Vol.38, pp.268-295, 2000.
  2. 박수정, 차희원,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위기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삼성중공업 기름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5권, pp.496-532, 2009.
  3. E. C. Alexander, "Consumer reactions to unethical service recovery," J. of Business Ethics, Vol.36, No.3 pp.223-237, 2002. https://doi.org/10.1023/A:1014086327876
  4. 권기혁, 강수돌, "CSR활동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제25권, 제7호, pp.3085-3106, 2012.
  5. A. B. Carroll and K. M. Shabana, "The business cas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review of concepts, research and practice," International J. of Management Reviews, Vol.12, No.1 pp.85-105, 2010. https://doi.org/10.1111/j.1468-2370.2009.00275.x
  6. 이애주, 김지회, "환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조직 신뢰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 식음료부서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3권, 제1호, pp.31-58, 2010.
  7. 오창현, 이태숙, 김철원, "사회적 책임 관여도에 따른 호텔 공익연계마케팅과 호텔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8호, pp.133-151, 2011.
  8. 조선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소비자인지와 소비자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 경영학연구, 제16권, 제5호, pp.283-298, 2013.
  9. 주승우, 김홍빈,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CSR이 기업이미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지역 호텔외식관련 학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4권, 제3호, pp.525-547, 2012.
  10. 김명희, 김광우, 남차현, "호텔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이 종사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학회, 제16권, 제4호, pp.137-160, 2013.
  11. A. Hass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values," J. of Europe Industrial Training, Vol.31, No.6 pp.435-448, 2007. https://doi.org/10.1108/03090590710772631
  12. A. B. Carroll, "A three 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 No.4, pp.497-505, 1979.
  13. D. Jamali and R. Mirshak,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heory and practice in a developing country context,"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72, No.3, pp.243-262, 2007. https://doi.org/10.1007/s10551-006-9168-4
  14. G. He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 economic and financial framework," The Geneva Papers on Risk and Insurance Issues and Practice, Vol.30, No.3, pp.387-409, 2005. https://doi.org/10.1057/palgrave.gpp.2510037
  15. L. R. Offerman, Leading and empowering diverse followers, leading organizations: Perspectives for a new era, Sage Pub., Thousand Oaks. CA, pp.397-403, 1998.
  16. H. Tan and C. Tan, "Toward the differentiation of trust in supervisor and trust in organization," Social &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26, No.2, pp.241-261, 2000.
  17. R. Axelrod,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asic Books, NY., 1985.
  18. J. Cufaude, "Creating organizational trust," Association Management, Vol.51, No.7, pp.26-35, 1999.
  19. 한주희, 이종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조직신뢰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냉소주의의 조절효과", 기업경영연구, 제16권, 제4호, pp.25-43, 2009.
  20.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i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734, 1995.
  21. 이민순, "항공운항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직업존중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370-378,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370
  22. 최보가, 전귀연,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2호, pp.41-54, 1993.
  23. E. M. Marshall, Building trust at the speed of change: The power of the relationship-based corporation,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pp.64-87, 2000
  24. J. Graham, "An essa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ol.4, No.4, pp.249-270, 1991. https://doi.org/10.1007/BF01385031
  25. 이용재, "사회적 기업에서 비젼공유와 가치일치가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206-21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