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4.06.11
  • Accepted : 2014.08.11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anger expression and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women. Number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150.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1. September to 30. November 2011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version 17.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ies, frequency of hobbies or social activities and menstruation stat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elf-esteem, anger-control and social suppor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depression, anger-in and anger-out. Self-esteem, social support,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ies and frequency of hobbies or social activities were predictors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Nurses should focus on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for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우울, 분노표현방식, 사회적 지지가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50명의 중년여성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1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운동을 자주 하는 집단과 취미생활이나 사회활동을 많이 하는 집단에서, 그리고 월경상태가 불규칙한 집단에 비해 규칙적이거나 폐경인 집단에서 건강증진 생활양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분노조절,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 분노억제, 분노표출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신체운동 횟수, 취미나 사회활동 횟수 등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예측변수들을 고려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생명표, 대전: 통계청, 2012.
  2. 통계청, 인구총조사, 대전: 통계청, 2011.
  3. http://en.wikipedia.org/wiki/Middle_age
  4. 강영실, 정미자, 박용숙, 김향숙, 이동매, 이동원, "국내 중년의 건강증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75-86, 2009.
  5. 김태임, 김희순, 신영희, 심미경, 오원옥, 성장발달과 건강 제 4판, 파주: 교문사, 2014.
  6. 이상매, 최수일,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203-214, 2012.
  7. 대한폐경기학회 편찬위원회, 폐경기 건강: 폐경 여성을 위한 지침서 제4판, 서울: 군자 출판사, 2012.
  8. M. Cohen, "Towards a framework for women's health," Patient Educ Couns, Vol.33, pp.187-196, 1998. https://doi.org/10.1016/S0738-3991(98)00018-4
  9. S. N. Walker, R. K.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0, 1987.
  10. 이은희, 소애영 , 이경숙, "한국인 중년여성과 한국계 미국인 중년여성의 건강통제위, 우울, 안녕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비교 연구",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57-165, 2010. https://doi.org/10.4069/kjwhn.2010.16.2.157
  11. 손제희, 허만세,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 사고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2호, pp.155-178, 2013.
  12.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3. K. H. Trzenniewski, M. B. Donnellan, and R. W. Robins, "Stability of self-esteem across the lifespan," J Pers Soc Psychol, Vol.84, No.1, pp.205-220,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1.205
  14. 김정술, "여자대학생과 중년여성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비교", 한국위생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45-51, 2008.
  15. 권서진, 김덕운, 박소라, 박혜영, 신소영, 심재영, 손지희, 이수연, 정다회, 홍지혜,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우울과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제44호, pp.17-29, 2010.
  16. 박영주, 한금선, 신현정, 강현철, 문소현, "청소년기 여성의 분노와 문제행동 및 건강상태",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7권, pp.1234-1242, 2004.
  17. E. H. Johnson, The deadly emotions: the role of anger, hostility, and aggression in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Praeger Publishers, 1990.
  18. 박현숙, 구현영, "중년여성의 분노와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 pp.245-256, 2004.
  19. 김종임, 박미영, "일 도시지역 중년남성의 건강 증진 행위와 분노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8-45, 2005.
  20. 박미영, 강현숙, 김종임, "일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분노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54-361, 2005.
  21.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 of life change stress," J Appl Soc Psychol,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2.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 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23. 박정희, 은영, 백경선, 이삼순, 신상춘,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한보건연구, 제33권, 제2호, pp.175-188, 2007.
  24.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파주: 수문사, 2009.
  25.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5.
  26.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7. 전병제,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제11권, 제1호, pp.107-130, 2000.
  28. L. R. Derogatis and L. Govi, "The SCL-90: 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 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ol Bull, Vol.9, pp.13-27, 1973.
  29.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서울: 중앙적성검사출판부, 1984.
  30. C. D. Spielberger, E. H. Johnso, S. F. Russell, R. J. Crane, G. Jacobs, and T. J. Worde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scale: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Hemisphere Pub, 1985.
  31. 전겸구, 김동연, 이준석,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개발연구", 미술치료연구, 제7권, 제1호, pp.33-50, 2000.
  32. 이평숙, 이용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77-484, 2004.
  33. 배선형, 박진희, 오의금, "D유형 성격에 따른 중년여성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행위 비교", 여성 건강 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37-345, 2011.
  34. 홍은영, 강영실, 하영미, "폐경 전.후기 중년 여교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66-74, 2013.
  35. 최정, "중년여성의 부부조화도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07-514, 2007.
  36. 곽선행, "중년여성의 스포츠참가와 LOHAS성향,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삶의 질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1권, 제3호, pp.1368-1383, 2010.
  37. 박현숙, "중년여성의 우울, 건강증진 행위,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52-362, 2002.
  38. S. A. Murrell, S. Meeks, and J. Walker, "Protective functions of health and self-esteem against depression in older adults facing illness or bereavement," Psychology and Aging, Vol.6, No.3, pp.352-360, 1991. https://doi.org/10.1037/0882-7974.6.3.352
  39. 이숙희,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후군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서강정보대학 논문집, 제15권, pp.327-348, 1996.
  40. 이수정, 김애경, "중년여성의 양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39-47, 2014.
  41. 허진영, 송기현, "생활체육참여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동 및 지속의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5권, 제1호, pp.531-543, 2011.
  42. M. A. Parsons, N. J. Pender, and C. L. Murdaugh,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 Pearson Education, 2011.

Cited by

  1.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an using SNS through Smartphone vol.16, pp.1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616
  2. The influence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vol.26, pp.6, 2015, https://doi.org/10.7465/jkdi.2015.26.6.1427
  3. Impa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vol.23, pp.3, 2017, https://doi.org/10.4069/kjwhn.2017.23.3.181
  4.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vol.25, pp.4, 20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4.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