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 김지영 (호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6.30
  • Accepted : 2014.08.08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4 infant teachers who ar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Jeonnam. A questionnaire was made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relevant materi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6 to June 13.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descriptive, ANOVA and Pearson-correlation with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e level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practice level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er's academic degree and teacher's workplace type. Seco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was normal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obstacle factor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er's academic degree and teacher's workplace typ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두 요인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4명의 영아교사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13일까지 배포 수거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정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 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은 "보통 정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간에는 부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향미, 오재록, 김선혜, "영유아 보육 거버넌스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6권, 제3호, pp.157-181, 2012.
  2. 안영혜, 정선영, 홍순옥,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간의 차이", 아동교육, 제21권, 제2호, pp.161-180, 2012.
  3. 보건복지부, 보육통계(2013.12.31. 기준), 보건복지부, 2013.
  4. 이기숙, 김정원, 이현숙, 전선옥, 영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13.
  5.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보건복지부, 2013.
  6. 박지영,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신화식, 박진옥,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52권, pp.103-123, 2008.
  8. 김경미,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박지현,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황혜경, 표준보육과정에 관한 영아 보육교사의 이해와 실행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김명희, 영아 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김현진,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 및 운영실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임준구,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장애요인 인식",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10권, 제3호, pp.129-149, 2012.
  14. 박종미, 만 2세미만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행정도와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방인옥, 박찬옥, 이기현, 김은희,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2013.
  16. 이정욱, 박진이,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운영 실태",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6호, pp.339-365, 2013.
  17. 박소영, 조혜진,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어린이집 수준 영아보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현황", 아동교육, 제19권, 제2호, pp.71-8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