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lternative policy guidelines and suggestions to enhance reading culture in the country. Analyzing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which is the keystone legal frame to promote readership in Korea, followed by major foreign policie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main policy areas including 'Reading infrastructure', 'Tax support', and 'Public Campaign'.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of experts' assessments of how much is the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pubic support of, and actual applicability to the reading promotion for the readers. Through the survey along with the Focus Group Interviews of different age groups, this study could develop useful guidelines and suggestions to strengthen existing reading promotion polici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society should realize that reading is not just educational purpose but 'enjoyment' itself and for that matter, the government needs more careful and active public campaigns.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