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and the scar model

한국 성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인지취약모델과 상처모델 검증을 중심으로

  • 김혜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6.0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re are two competing models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y are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and the scar model.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explains that low self-esteem poses 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depression while the scar model asserts that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scars the cognitive function of individuals, resulting in negative self-perception. This study was set out to test two models on Korean adul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elf-esteem relationship. The first four waves (wave 1~4)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re used for analyses, an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was reciprocal, one affecting the growth trajectory of another over a four year period. Furthermore, education, poverty status,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depression and self-esteem trajectorie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heory a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한국복지패널 1~4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인지취약모델과 상처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우울과 자아존중감 손상에 취약한 인구집단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의 초기값이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초기값이 우울 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외국 연구와는 달리 국내 성인집단에서는 인지취약모델과 상처모델이 모두 지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상호관계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지지되었으며, 우울의 변화궤적과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수준, 빈곤여부, 만성질환 여부 및 사회적 관계 만족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성인기 집단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관계의 매커니즘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논의를 통해 우울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Inche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