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Cha, Jung Won (Dep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 Lee, Hyong Sil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차정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
  • 이형실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4.07.16
  • Accepted : 2014.09.19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family cohesion), peer environment(quality of peer relationship, peer bullying)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425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amily environment of adolescents directly affected peer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peer environment of adolescents directly affected self-esteem. Self-esteem was more highly affected by peer environment than family environment. Adolescents' self-esteem direct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부모양육태도, 가족응집성), 또래환경(또래관계의 질, 또래 괴롭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 4개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 및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족환경은 또래환경에 직접적으로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이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가족환경보다 또래환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또래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고, 가족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또래환경과 자아존중감이 차례대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 또래환경,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