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규현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 권윤희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4.07.21
  • Accepted : 2014.10.08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673 middle school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Measures were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9.0 version. The mean score for suicidal ideation of the participants was 1.22, out of a possibl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religion, record, family structur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economy status. Suicidal idea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and depression and negatively with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oblem of life, depression, social support, daily life stress,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the reducement of problem of life, depression, daily life stress, school violence and enhancement social support in order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는 D광역시의 중학생 6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사회적지지, 우울 및 자살생각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5점 만점에 1.2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 학업성적, 가족형태, 학교폭력 경험 유무, 경제상태에서 유의한 자살생각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및 우울과 정적, 사회적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문제, 우울, 사회적지지, 일상생활 스트레스, 학교폭력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삶의 문제,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학교폭력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증진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1년 사망원인, 통계청, 2012.
  2. 보건복지부, 2011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1.
  3.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096004
  4. 유기영, 신영규, 은백린, 박상희, 독고영창, "수도권 지역 청소년들의 우울증", 고려대학교의과대학 소아과, 제43권, 제2호, pp.172-178, 2000.
  5. 신미, 전성희, 유미숙,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9호, pp.131-150, 2010.
  6. S. S. Daniel and D. B. Goldston, " Interventions for suicidal you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Suicide and Life-reatening Behavior, Vol.39, pp.252-268, 2009. https://doi.org/10.1521/suli.2009.39.3.252
  7. H. Reinher, J. Tanner, S. Berger, W. Beeardslee, and G. Fitzmaurice,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s predictive of psychology: Suiciadl behavior and compromised functioning at age 30,"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3, pp.1226-1232, 2006. https://doi.org/10.1176/ajp.2006.163.7.1226
  8. 고성은, 홍혜영,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97-124, 2009.
  9. 박은옥,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3호, pp.465-473, 2008.
  10.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ner Medical Devision, Hapner and Row, 1976.
  11. 권은희,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2. P. Rohde, J. S. Seeley, J. Rohling, and M. Rohling, "The life attitudes schedule-short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rrelates of adolescent suicide pronenes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3, pp.249-260, 2003. https://doi.org/10.1521/suli.33.3.249.23216
  13. 강성옥,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M. R. Smochek, C. Oblaczynski, D. L. Lauck, P. T. Green, J. A. Early, and J. E. Smity, "Interventions for risk for suicidal and risk for violence," Nursing Diagnosis, Vol.11, No.2, pp.60-68, 2000. https://doi.org/10.1111/j.1744-618X.2000.tb00391.x
  15. K. M. Lubell and J. B. Vetter, "Suicide and youth violence prevention: The promise of an integrated approach," Aggression of Violent Behavior, Vol.11, pp.167-175, 2005.
  16. K. Matsuishi, N. Kitamura, M. Sato, K. Nagai, S. Y. Huh, and K. Ariyoshi., "Change of suicidal ideation induced by suicidal attempt.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Vol.59, pp.599-604, 2005. https://doi.org/10.1111/j.1440-1819.2005.01421.x
  17. 홍나미, 부모학대와 또래 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송민정, 중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 임인순,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경험과 대처방식이 우울, 무망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김성희,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영향요인,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M. L. Hoffman, "Empathy: its limitation and its role in a comprehensive moral theory," In W. M. Kurtines & J. L. Gewirtz(Eds.).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New York: Plenum, 1989.
  22.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88.
  23. 유안진, 한미현, "한국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4호, pp.49-64, 1995.
  24. 신재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5.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6.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27. 강수진, 친인척보호 소년소녀가장세대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8. 김미경, 이은희, "청소년의 피학대 경험, 자살노출 및 자살보도 노출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목표 불안정성의 매개역할", 청소년학연구, 제8권, 제12호, pp.403-429, 2011.
  29. 한국청소년상담원, 2010 청소년 위험행동 조사, 한국청소년상담원, 2011.
  30. 이정숙, 권영란, 김수진, 최봉실,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32-40, 2007.
  31. 임미례, 청소년의 스트레스, 절망감,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김경미, 염유식, 박연민,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35-247, 2013.
  33. 이신애, 남녀 중학생의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4. 김윤정, 강현정,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41-24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