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 투고 : 2014.08.12
  • 심사 : 2014.09.18
  • 발행 : 2014.11.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의 중요성 및 어머니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정서지능은 양육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부모로서의 효능감은 높은 반면,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약 15.6%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정서표현, 정서조절이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효능감에 대해 약 23.4%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정서인식, 정서표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mother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mothers. A total of 228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parenting stress but positive correlation to parenting efficacy. Seco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Thir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arenting efficacy.

키워드

참고문헌

  1.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London: Bloomsbury, 1995.
  2. 이혜련, 최보가, "학령전 아동의 정서 이해와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아동 정서수용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0호, pp.103-112, 2002.
  3.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pp.1265-1277, 1984. https://doi.org/10.2307/1129996
  4. M. Putallaz, "Maternal behavior and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Vol.58, pp.324-340, 1987. https://doi.org/10.2307/1130510
  5. 김문신, 김광웅,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6권, 제1호, pp.3-13, 2003.
  6. 김은경, 송영혜,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 양식,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능력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4권, 제1호, pp.43-64, 2008.
  7. 안라리,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조수정, 도현심, 김상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 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1권, 제6호, pp.167-183, 2010.
  9.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모-자녀 성격조화 유형에 따른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29-41, 2004.
  10. 강민수,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1. 김순녀,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양경수,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5권, 제1호, pp.361-371, 2002.
  13. W. Roberts and J. Strayer,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67, pp.449-470, 1996. https://doi.org/10.2307/1131826
  14. 권희정,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부모효능감 간의 상관연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노민자, 조혜정,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유아의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4호, pp.17-27, 2013.
  16.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pp.185-211, 199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17. 문용린, 곽윤정, "정서지능과 직위의 관계에 관한 종단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2권, 제4호, pp.19-31, 2005.
  18. R. Bar-On,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EQ-I): Technical manual. Toronto: Multi-Health Systems, 1997.
  19. G. Matthews and M. Zeidner,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 Myth]. 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최경아 옮김, 서울: 학지사, 2010(원서 2002 출판).
  20. M. A. Rahim and C. Psenicka,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of stress,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psychiatric symptoms, and propensity to leave a job," J. of Social Psychology, Vol.136, pp.69-84, 1996. https://doi.org/10.1080/00224545.1996.9923030
  21. J. Ciarrochi, J. P. Forgas, and J. D. Mayer, 정서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박재현, 장승민, 권성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원서 2001 출판).
  22. 백지희, 유아기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경험을 위한 목표, 피드백, 동기: 양육플로우 경험의 매개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3.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5호, pp.165-183, 2007.
  24. 이효림, 신은정,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정서 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제23권, 제1호, pp.247-262, 2014.
  25. M. Laupa and E. Turiel, "Children's concepts of authority and social context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5, pp.191-197, 1993. https://doi.org/10.1037/0022-0663.85.1.191
  26. G. F. Melson, "The development of metasocializ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0, pp.241-266, 1989.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07-5
  27.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8. T. Luster and L. Okagaki,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29. 박응임, 영아-어머니간의 애착 유형과 관련 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30. R. R. Abidi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9, No.2, pp.298-301, 1992.
  31. 김미숙, 문혁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8호, pp.141-152, 2011.
  32. 김사라형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공감 증진 및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자녀양육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 권, 제5호, pp.62-82, 2003.
  33. 이상희, "母-兒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8권, 제2호, pp.62-82, 2003.
  34. C. Letoumeau, "Empathy and stress: How they affect parental aggression," Social Work, Vol.26, pp.383-389, 1981.
  35. C. Johnson and E. J. Mash,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No.2, pp.167-175, 1989.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2_8
  36. 문혁준,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 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6호, pp.1-11, 1999.
  37. D. M. Tei and D. M. Gelfand, "Behavior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Mediation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Vol.62, No.5, pp.918-929, 1991. https://doi.org/10.2307/1131143
  38. S. Mondell and F. B. Tyler,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er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7, pp.73-83, 1981. https://doi.org/10.1037/0012-1649.17.1.73
  39.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2, No.2, pp.122-147, 1982.
  40. R. Levy-Shiff, L. Dimitrovsky, S. Shulman, and D. Har-Even, "Cognitive appraisal,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4, No.6, pp.1417-1427, 1998. https://doi.org/10.1037/0012-1649.34.6.1417
  41. M. H. Bornstein, O. M. Haynes, L. Pasual, and K. M. Painter,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parenting young children: An ecological, multivariate comparison of expression and sources of self-evalu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Argentina," In U. P. Gielen, and J. L. Roopnarine(Eds.), Childhood and Adolescence: Cross-cultural perspective and application(pp. 166-194), Westport, CT: Greenwood Press.
  42. 조현주, 박경애, "교사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251-270, 2007.
  43. D. W. Cha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ng Ko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36, pp.1781-1795, 2004. https://doi.org/10.1016/j.paid.2003.07.007
  44. 이미향,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자아개념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5. 배은주,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부모역할지능과의 관계,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6. 문용린, 종합적성진로진단검사, 서울: 대교출판사, 1997.
  47.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8.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2권, 제1호, pp.41-63, 2006.
  49. R. E. Boyatzis, D. Goleman, and K. Rhee, "Clustering compet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the Emotional Competence Inventory(ECI)," In R. Bar-On, and J. D. A. Parker(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development, assessment, and application at home, school, and in the workplace(pp. 343-362), San Francisco: Jossy-Bass.
  50. D. C. McClenlland, "Identifying competencies with behavioral-event interviews," Psychological Science, Vol.9, No.5, pp.331-340, 1998. https://doi.org/10.1111/1467-9280.00065
  51. 문용린, 강민수, 최경아, "EQ 생활태도검사의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1권, 제3호, pp.1-16, 2004.
  52. C. Chernis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the workplace," In R. Bar-On, and J. D. A. Parker(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Jossy-Bass.
  53. S. L. Goleman, D. T. Kraemer, and P. Salovey,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41, No.2, pp.115-128, 1996. https://doi.org/10.1016/0022-3999(96)00119-5
  54. 심경희, 부성숙,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40-54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