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ture Review of on the Sujeonggwa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의 문헌적 고찰

  • Oh, Soonduk (Nursing Dept. Euigwe Joseon Dynasty Food Culture Research Institute)
  • 오순덕 (조선왕조의궤 음식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5.04.01
  • Accepted : 2015.10.20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Sujeonggwa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Sujeonggwa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Sujeonggwa(水正果), Geunsi-Sujeonggwa,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Yuja-Sujeonggwa(柚子水正果), Jabgwa-Sujeonggwa(雜果水正果), Duchung-Sujeonggwa (杜沖水正果), Yukyeldo-Sujeonggwa(六月桃水正果), Bokbunja-Sujeonggwa(覆盆子水正果), Aengdo-Sujeonggwa(櫻桃水正 果), Sansa-Sujeonggwa(山査水正果. The frequency of the Sujeonggwa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Geunsi-Sujeonggwa(20%),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r(15%), Sujeonggwa(水正果)(10%),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10%),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10%). The other Sujeonggwa each(5%).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Sujeonggwa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조선시대 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수정과류의 종류에는 수정과(水正果), 건시수정과, 생리수정과(生梨水正果), 왜감자수정과(倭柑子水正果), 가련수정과(假蓮水正果), 유자수정과(柚子水正果), 잡과수정과(雜果水正果), 두충수정과(杜沖水正果), 육월도수정과(六月桃水正果), 복분자수정과(覆盆子水正果), 앵도수정과(櫻桃水正果), 산사수정과(山査水正果)가 소개되었다. 수정과류 가운데 건시수정과 20%, 생리수정과 15%, 수정과 10%, 왜감자수정과 10%, 가련수정과10%, 그 외 수정과는 각각 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과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C. H. Lee, S. Y. Kim,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6(1):43-54, 1991.
  2. S. Kang, E. K. Park, Health Beverage. Genrodanchechulpansa, 2011. 강석, 박은경. 건강음료. 근로단체출판사, 2011.
  3. Y. S. Sin,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p. 59, Seoul, 2005. 신영석. 조선향토대백과. 신흥 P&P(주). p. 59, 서울, 2005.
  4. Sajeonyeongusil. Joseonmalsajeon. Hakuseobang, 1962. 사전연구실. 조선말사전. 학우서방, 1962.
  5. H. G. Lee, Y. H. Du.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Cultural Heritage 2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991. 이효지, 두연희. 한국 음청류의 분석적 연구. 문화재 24. 문화재관리국, 1991.
  6. S. S. Yoon, Hankukeumsikyongeo, Mineumsa, p. 371-382, Seoul, 1991.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p. 371-382, 서울, 1991.
  7. H. G. Lee, S. H. Jo, R. W. Jeong, K. H. Cha translation, Imwonsiprukji(Y. G. Se, 1827), Gyomunsa, Gyeonggi-do, 2007.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편역, 임원십육지(정조지)(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2007.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umsigbangmun, p. 30, Gyeonggi-do, 2010. 농촌진흥청,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 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농촌진흥청, 경기도, 2010.
  9. S. S. Yoon, H. J. Cho, "Commentary Emsikbub of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8(1):79-84, 1973. 윤서석, 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 법의 해설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1)79-84, 1973.
  10. S. D. Oh,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oods in Korean Festivals in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 Nutr. 25(1):32-49, 2012. 오순덕. "조선시대 세시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1) 32-49, 2012. https://doi.org/10.9799/ksfan.2012.25.1.032
  11. S. G. Hwang, Heodongungi, Chungrok publisher, p 304-305, 1970. 황순구 편저, 해동운기{海東韻記-해동죽지 (최영년, 1925)}, 청록출판사, p 304-305, 1970.
  12. Y. N. Choi, Heodongjukgi, Janghaksa, The National Library, 1925. 최영년(崔永年), 해동죽지(海東竹枝), 장학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925.
  13. S. H. Cho.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of Sujeonggwa", Bucheon College papers 3: p. 1-9, 1983. 조신호, "수정과 제조에 관한 연구". 부천대학 논문3: p 1-9, 1983.
  14. H. G. Lee.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Korean J. Dietary Culture. 9(4): p 421-429, 1994. 이효지. "한국의 음청류 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4):p 421-429, 1994
  15. M. J. Sin, Literature of Korea Beverages. Hotel Management 15: pp 145-182, 1994. 신민자. 한국 음청류의 분류적 고찰. 호텔경영론집 15: p 145-182, 1994.
  16. K. H. Son, Literature of Korea traditional Beverages. Inje Food Science Forum, 1996. 손경희. 한국 전통 음청류의 역사적 고찰. 인제식품과학 포럼논총, 1996.
  17. Eulyu Sujakeuigwe(乙酉 受爵儀軌), Kyujanggak, 1765. 을유 수작의궤(乙酉 受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65(영조 41년)
  18.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儀軌), Kyujanggak, 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95(정조 20년).
  19.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礼儀軌), Kyujanggak, 1827.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7(순조 27년).
  20.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Kyujanggak, 1828.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8년(순조 28년)
  21.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29.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9년(순조 29년).
  22.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Kyujanggak, 1848.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48년(헌종 14년).
  23.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68.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68년(고종 5년).
  24.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Kyujanggak, 1873.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3년(고종 10년).
  25.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77.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7년(고종 14년).
  26.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Kyujanggak, 1887.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87년(고종 24년).
  27.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92.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92년(고종 29년).
  28.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Kyujanggak, 1901년 5월.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5월(대한제국 고종 5년).
  29.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Kyujanggak, 1901년 7월.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7월(대한제국 고종 5년).
  30.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Kyujanggak, 1902년 4월.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4월(대한제국 고종 6년).
  31.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Kyujanggak, 1902년 11월.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11월(대한제국 고종 6년).
  32. S. M. Hong, Dongguksesigi, Yeonsei University, 1849. 홍석모(洪錫謨), 동국세기시 연세대소장본, 1849.
  33. Author Unknown, Gunhakheideng, The National Library, The mid-1800s. 저자미상, 군학회등(郡學會騰), 국립중앙도서관, 1800년대 중엽.
  34. Han HS, Hwang HS, Lee HK. 1957. Leejogungjeongyoritonggo. Hakchongsa(學叢社), 1957.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이조궁정요리통고. 학총사, 1957.
  35. G. J. Jung, J. M. Lee, E. H. Park, J. J. Baek. Googjung Tteok & Gwaga. Soopung. 2012 정길자,이종민,박은혜,백진주. 궁중의 떡과 과자. 소풍. 2012.
  36. S. W. Lee, Hankukgosikmunheunjipsung IV, Suhaksa, p. 1353-1363, Seoul, 1992. 이성우, 한국고식문헌집성IV- 간본규합총서(빙허각이씨 원저, 1869), 수학사, p. 1353-1363, 서울, 1992
  37. Y. W. Jung YW translation, Gyuhapchongseo(Bingheogak Lee ssi, 1815), Bojinjai, Seoul. 1975. 정량완 편역, 규합총서(빙허각이씨 원저, 1815년경), 보진재, 서울.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