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The 5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using the structural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emotionality temperament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Preschoolers' activity and sociability tempera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Second, preschoolers's emotionality temperament also had a direct impact on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havior, otherwise preschoolers's activity and sociability temperament were unrelated to that. Third,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s behavior. Finally,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about parenting competenc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reschooler's temperamen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요인과 환경 변인으로 어머니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 및 양육실제를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문제행동 중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5차년도(2012년) 한국아동패널데이터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유아 1703명과 그의 어머니가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요인 중 정서성기질은 어머니 양육역량에 부정적 영향을, 활동성기질과 사회성기질은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유아의 기질요인 중 정서성기질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유아의 기질요인 중 활동성기질과 사회성기질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역량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역량은 자녀의 기질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중재하기 위한 어머니 교육은 자녀의 기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양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 (2014). 영유아 행동의 성장곡선 추정에 미치는 측정의 오차영향: 잠재특성모형과 관찰점수 모형의 비교(pp21-56). 한국아동패널2014 심층분석연구(최윤경 편).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권신영, 서영숙 (2014).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관계에서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01-115.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101
  3.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5. 김수정, 곽금주 (2013). 3세부터 7세까지 어머니의 애정/온정적 양육태도의 변화가 아동의 학교 적응에 주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19.
  6. 남궁령 (2014).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31-157.
  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문영경, 민현숙 (2012).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59-70. https://doi.org/10.5934/KJHE.2012.21.1.59
  9. 박수홍,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홍광표 (2013). 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 31(2), 157-178.
  10. 성정원, 박성연 (2011).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자녀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2), 123-145.
  11. 신나나, 박보경, 김소영, 도현심 (2015). 모-자녀간 상호작용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순응/불순응 행동간의 상호적 관계: 단기종단연구. 아동학회지, 36(5), 75-94. https://doi.org/10.5723/KJCS.2015.36.5.75
  12. 신나리, 안재진 (2014).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간의 인과적 종단 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5(5), 135-154. https://doi.org/10.5723/KJCS.2014.35.5.135
  13.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매뉴얼 개정판. 서울: 휴노컨설팅.
  14. 육아정책연구소 (2009). 한국아동패널 2009 (2차년도) 도구프로파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육아정책연구소 (2013). 한국아동패널 2013 사업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원영미, 박혜원, 이귀옥 (2004).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연변 조선족과 한국 유아의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331-334.
  17. 이상균, 유조안 (2015). 빈곤관련 가족환경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과 아동 문제행동간의 관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실천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48(6), 29-57.
  18. 이정숙, 문보경 (2010). 유아의 기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55-74.
  19. 임현주 (2014). 유아의 성별,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5-27.
  20. 임현주 (2015).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5(2), 97-115.
  21. 장혜진, 이정림, 윤은주, 김해인 (2013).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전은주 (2015).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유형, 양육효능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9(4), 391-412.
  23.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24. 최미나 (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83
  25. 최형성 (2005). 양육효능감의 매개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모형. 아동학회지, 26(6), 351-365.
  2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 man & Company.
  27.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28. Berdan, L. E., Keane, S. P., & Calkins, S. D. (2008). Temperament and externalizing behavior: Social preference and perceived acceptance as protective factors. Development Psychology, 44(4), 957-968. https://doi.org/10.1037/0012-1649.44.4.957
  29.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30. Campbell, S. B. (2002).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NY: The Guilford Press.
  31.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https://doi.org/10.1002/imhj.10048
  32.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https://doi.org/10.2307/1130428
  33. Eisenberg, N., Sadovsky, A., Spinrad, T. L., Fabes, R. A., Losoya, S. H., Valiente, C., Reiser, M., Cumberland, A., & Shepard, S. A. (2005). The Relations of problem behavior statu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effortful control, and impulsivity: Concurrent relations and prediction of change. Developmental Psychology, 41(1), 93-211.
  34. Fox, L., Dunlap, G., & Powell, D. (2002).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 Issues and considerations for behavior support.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4, 208-217. https://doi.org/10.1177/10983007020040040401
  35. Gilliom, M., & Shaw, D. S. (2004). Codevelopment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2), 313-333. https://doi.org/10.1017/S0954579404044530
  36. Gilmore, L. A., & Cuskelly, M. (2008). Factor structure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using a normative sample.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8(1), 48-55.
  37. Halverson, C. F., & Deal, J. E. (2001). Temperamental change, parenting, and the family context. In T. D. Wachs, & G. A. Kohnstamm (Eds.), Temperament in context (pp. 61-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38. Kuhn, J. C., & Carter, A. S. (2006). Maternal self-efficacy and associated parenting cognitions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564-575. https://doi.org/10.1037/0002-9432.76.4.564
  39. Leerkes, E. M., & Crockenberg, S. C. (2002). The development of maternal self-efficacy and its impact on maternal behavior. Infancy, 3(2), 227-247. https://doi.org/10.1207/S15327078IN0302_7
  40. Lengua, L. J., & Kovacs. E. A. (2004). Bidir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parenting and the prediction of adjustment problems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21-38. https://doi.org/10.1016/j.appdev.2004.10.001
  41. Mathiesen, K. S., & Tambs, K. (1999).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3), 431-439. https://doi.org/10.1111/1469-7610.00460
  42. Miner, J. L., & Clarke-Stewart, K. A. (2008).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behavior from age 2 to age 9: Relations with gender, temperament, ethnicity, parenting, and r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44(3), 771-786. https://doi.org/10.1037/0012-1649.44.3.771
  43. Reder, P., Duncan, S., & Lucey, C. (2003). Studies in the assessment of parenting. London: Routledge.
  44. Rettew, D., Stanger, C., McKee, L., Doyle, A., & Hudziak, J. (2006).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parent temperamen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Comprehensive Psychiatry, 47, 412-420.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5.12.008
  45. Roskam, I., & Meunier, J.C. (2012). The determinant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trajectories: The effects of parental and child time-varying and time-invariant predi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6(3), 186-196. https://doi.org/10.1177/0165025411434651
  46. Sanders, 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1(1), 65-73.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5.00487.x
  47.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48. Thomas, A., Chess, S., & Birch, H. G. (1984). Temperament and 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49. Walker, L. O., & Cheng, C. Y. (2007). Maternal empathy, self-confidence, and stress as antecedents of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2(2), 93-104. https://doi.org/10.1111/j.1744-6155.2005.00098.x
  50. Weavera, C. M., Shaw, D. S., Dishion, T. J., & Wilson, M. N. (2008). Parenting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t high risk for early conduct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1(4), 594-605. https://doi.org/10.1016/j.infbeh.2008.07.006
  51. Woods, K. (2011). Examining the effect of medical risk, parental stress, and self-efficacy on parent behaviors and home environment of prematur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Nebraska, USA.

Cited by

  1.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vol.37, pp.5,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5.117
  2. The Effects of Preschooler Temperament and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vol.37, pp.6,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6.69
  3. A study on effects of children’s self-concept, mothers’ parenting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on the children’s external·internal problem behaviors vol.36,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08
  4. 걸음마기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간 관계: 어머니의 성격특성의 조절효과 vol.35, pp.1,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7.35.1.31
  5.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015
  6.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vol.40, pp.4,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9.40.4.95
  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기질의 조절효과 vol.57, pp.3, 2015, https://doi.org/10.6115/fer.2019.027
  8.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6,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