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Community Spi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Their Children's Humanity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유아 인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5.10.23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 among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fathers' community spirit, and their children's humanity. We also examined whether fathers' community spirit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humanity. The study used data from 207 4-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fathers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We estimated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employed a two-way 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fathers' community spirit, and their children's humanity by children's sex and age. Second, children's human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positively related to fathers' community spirit. That is, children's humanity can be improved further by lowering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increasing fathers' community spirit. Third, our results showed that fathers' community spirit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their children's humanity.

본 연구는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공동체 의식, 유아의 인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성 간의 관계에 아버지의 공동체 의식이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와 5세 유아 207명과 그 아버지 207명으로 조사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공동체 의식, 그리고 유아의 인성을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인성은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이, 아버지의 공동체 의식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버지의 공동체 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기 자녀의 인성은 아버지의 공동체 의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가진 아버지라도 공동체 의식수준이 높으면 유아기 자녀의 인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숙 (1998). 가족의 가치지향과 부모의 도덕성 및 훈육이 청소년의 시민적 자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12), 11-23.
  2. 고정리 (2014). 부모의 공동체의식이 유아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275-302.
  3. 교육과학기술부, 서울특별시 교육 청(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4.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김경훈, 김형재, 이은림 (2013).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5-32.
  6. 김선화 (2010).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형 일치여부에 따른 유아의 만족지연능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애숙 (2004). 유아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성발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현신, 우남희 (2000). 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과 부모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1(1), 109-120.
  9. 나은숙, 이종인 (2008). 부모의 자녀수용-거부와 통제척도에 관한 한국 타당화 검사: 유아부모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109-135.
  10. 나은숙, 김경회 (2014). 3-5세 유아용 인성척도 개발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433-452.
  11. 노인순, 문혁준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5), 25-45.
  12. 라혜미, 이희영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246-26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2.246
  13. 박성미, 허승희 (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척도 개발. 아동교육, 21(3), 35-47.
  14. 배형연 (2004). 아버지의 역할 수행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감정지능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설경옥 (2005).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설경옥, 문혁준 (2006).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7), 1-9.
  17. 손봉호 (2010).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한국 유아교육.보육행정학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2), 10-24.
  18. 신나리, 오정순 (2015).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59-8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059
  19. 신애선 (2015).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검증 효과. 유아교육연구, 35(3), 223-240.
  20. 양미경 (1996).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87-101.
  21. 육아정책연구소 (2014). 육아정책 Brief. 통권 제 22호. 2014년 2월 10일
  22. 이수재, 이영환 (2010). 아버지-유아상호작용 유형 및 아버지 통제전략이 유아의 자기통제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99-118.
  23. 임미옥 (2006). 부모의 정서표현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임형아 (2004). 부부갈등과 부모역할 만족도가 유아의 공격성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장여옥 (2015).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2), 109-129.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109
  26. 정다운, 김정희 (2015).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5-2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05
  27. 정지영 (2005). 유아의 기질 및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정진경 (1999). 한국공동체의식 검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5(2), 19-30.
  29. 정희영 (2015). 가정연계 인성덕목관련 그림책 대여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질서, 나눔, 존중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1-20.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1. Bukatko, D., & Daehler, M. W. (1995). Child development: A thematic approach. Boston: Houghton Mufflin Company.
  32. Coleman, P., & Karraker, K.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 Rev, 18(1), 47-85. https://doi.org/10.1006/drev.1997.0448
  33. England, P., & Folbre, N. (2002). Involving dads: Parental bargaining and family well-being. In C. S. Tamis-LeMonda & N. Cabrera (eds.), Handbook of father involvement: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pp. 387-408).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Mahwah, NJ.
  34. Flanders, J. L., Leo, V., Paquette, D., Pihl, R. O., & Seguin. J. R. (2009). Rough-and-tumble play and the regulation of aggression: An observational study of father-child play dyads. Aggressive Behavior, 35(4), 285-295. https://doi.org/10.1002/ab.20309
  35. Hoffman, M. L. (1977). Sex difference in empathy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84(4), 712-722. https://doi.org/10.1037/0033-2909.84.4.712
  36. Karstad, S. B., Kvello, O., Wichstrom, L., & Berg-Nielsen, T. S. (2013). What do parents know about their children's comprehension of emotions? Accuracy of parental estimates in a community sample of pre-schooler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0(3), 346-353.
  37. Lamb M. E., & Lewis, C. L. (2010).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father-child relationship in two-parent familie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pp. 94-153). Wiley & Sons, Hoboken, NJ.
  38. Lickona, T. (1991). Educating for character: How our school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Bantam.
  39. Palkovitz, R. (2002). Involved fathering and child development: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good fathering. In C. S. Tamis-LeMonda & N. Cabrera (eds.), Handbook of father involvement: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pp. 119-14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40. Parke, R. D. (2002). Fathers and families. In M. E. Lamb (ed.), Handbook of parenting: Volume 3: Being and becoming a parent (pp. 27-74).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41. Paquette, D. (2004). Theorizing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Mechanisms and developmental outcomes. Human Development, 47(4), 193-219. https://doi.org/10.1159/000078723
  42. Parke, R. D., Dennis, J., Flyr, M. L., Morris, K. L., Killian, C., McDowell, D. J. et al. (2004). Fathering an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pp. 307-340). Wiley, Hoboken, NJ.
  43. Rohner, R. P., & Khaleque, A. (2005). Parental control scale: Test manual. In R. P. Rohner & A. Khaleque (eds.),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nd acceptance rejection (pp. 107-135). Storrs, CT: Rohner Research Publications.
  44. Riley, D. (1990). Network influence on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n M. Cochran, M. Larner, D. Riley, L. Gunnarsson, & C. Handerson (eds.), Extending families: The social network of parents and the in children (pp. 131-153),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Stevenson, M., & Crnic, K. (2013). Intrusive father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s: A mediation analysi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7(6), 500-512. https://doi.org/10.1111/j.1365-2788.2012.01549.x
  46. Tafarodi, R. W., Wild, N., & Ho, C. (2010). Parental authority, nurturance, and two-dimensional self-esteem.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1(4), 294-303. https://doi.org/10.1111/j.1467-9450.2009.00804.x
  47. Wilson, K. R., & Prior, M. R. (2011). Father involvement and child well-being.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7(7), 405-407. https://doi.org/10.1111/j.1440-1754.2010.01770.x

Cited by

  1. Effect of parenting stres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s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rough rejective parenting vol.37, pp.4,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