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Toxic Heavy Metals Transferring Rates to Decoction of Five Most Generally Adopting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다섯 가지 다용한약처방의 전탕 전후 유해 중금속 이행률 조사

  • Kim, Kee Dong (Dept. of Fine Chemical and Advanced Materials,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김기동 (상지대학교 정밀화학신소재학과)
  • Received : 2015.10.30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Objective : Five most generally adopting basic oriental prescriptions (yookmijihwangtang, ojeoksan, sipjeondaebotang, samultang, bojoongikgita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oriental hospitals nationwide and the transferring ratio to aqueous phase (TRAP) were calculated. Method : The samples are grounded evenly and the decocted at $120^{\circ}C$ for 12 min on hot plate and then filtered. The concentrations of As, Cd, Co, Cr and Pb in before and after decoction were measure by ICP/MS and the TRAPs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concentrations of As, Cr and Pb in the ground samples before decoction were all below criteria level, and TRAP values were also very low (<10%). For Cd, although some ground samples before decoction showe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level compare to the criteria level, because of their low TRAP (~3%), the actual concentrations in the decoction were quite low compare the criteria level. The Co'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 samples before decoction were all relatively low level. However, the TRAP of Co was astonishingly high value of around 40% average. Conclusion : The toxic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decoction were very low compare to the criteria level. The TRAPs are less than <10% except Co. The toxic heavy metals in the prescriptions are mainly remained in the residue and the only very small fraction may transferred to the decoctions. Therefore the toxicity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about the toxic heavy metal may be overstressed. The Co's TRAP turned out to be quite high value (40% average). Since the criteria level wes not established yet, the safety of decoctions according to Co was not fully confirmed.

Keywords

References

  1. 김미경, 허문회, 이창희, 진종성, 진선경, 이영자. 유통 한약재의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 한국생약학회지. 2004: 35: 276-282.
  2. 김진숙, 황성원, 김종문, 마진열. 한약재와 탕액(쌍화탕)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의 함량 연구(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 6: 117-122.
  3. 정삼주, 강성태, 한창호, 김수진, 고숙경, 김윤희, 김유경, 김복순, 최병현. 한약재의 약용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탕액에서의 이행률 조사.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010: 25: 402-409.
  4. 이영환, 정문호. 금속과 사람.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총서. 1993: 167.
  5. 이성득, 이정숙, 황광호, 김희순, 유인실, 한기영, 채영주. 동물성 생약의 중금속 함량 및 이행률 조사. 약학회지. 2013: 57: 8-17.
  6. 한국식품안전청(KFDA). 고지 No. 2011-42. 2011.
  7. 한국식품안전청(KFDA). 고지 No. 2005-62. 2005.
  8. 한국식품안전청(KFDA). 고지 No. 2008-2. 2008.
  9. 이선동, 김명동, 박경식.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 및 관리방안-오염경로 및 대책을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8: 2: 209-229.
  10. 이미경, 박정숙, 임현철, 나환식. 유통한약재의 중금속 함량조사. 한국식품저장육통학회지. 2008: 15: 253-260.
  11. 이승훈, 최호영, 박창호.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분석 및 물세척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2003: 18: 90-93.
  12. 김동규, 김복순, 한은정, 한창호, 김욱희, 최병현, 황인숙, 채영주, 김민영, 박승국. 서울지역 유통한약재의 약용부위에 따른 유해중금속 분포. 한국분석과학회. 2009: 22: 504-513.
  13. 김동규, 김복순, 한창호, 김은주, 최병현, 박승국. 서울지역 유통한약재의 통계적 품질관리. 약학회지, 2009: 53: 274-280.
  14. 박문기, 김승영, 황현욱. 한약재의 중금속 평가연구 -경기북부지역 한약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 13, 1117-1122.
  15. 김광중, 양재하, 권영규, 이현정. 경북북부지역 재배한약재와 토양의 중금속 함량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 1419-1426.
  16. 이향희. 서정미, 오무술, 강인숙, 박종진, 서계원, 하등룡, 김은선. 광주지역 유통한약재의 유해물질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0: 25: 83-90.
  17. 차윤엽, 허성규, 김동건, 백태현, 서형식, 박희수, 김병우, 권기록, 이승기, 유준상, 손영주, 선승호, 차배천, 서승학.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 21: 226-230.
  18. 장설, 김태희, 이아름, 이아영, 최고야, 김호경. 유통한약재의 중금속 잔류실태조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12: 20: 434-439.
  19.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9: 30: 108-117.
  20. 김진숙, 황성원, 김종문, 마진열. 한약재와 탕약(쌍화탕)중 내분비계 장매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의 함량연구(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 6: 117-122.
  21.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김종열, 이시우, 신현규.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전탕 전, 후의 농도변화 - 다빈도 태음인 사상처방을 중심으로 -.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 21: 237-246.
  22. 배종섭, 박종필, 김용웅, 박문기.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한국생물공학회지. 2010: 26: 94-96.
  23. 강순수. 바른 방제학. 대성문화사. 1996.
  24. 김기동, 서용찬, 이선동. 다용한약처방 중 사용지역별 일부 금속농도의 비교.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 18: 53-65.
  25. 이성득, 이영기, 김무상, 박석기, 김연선, 채영주.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2: 27: 375-387.
  26. 박해모, 최경호, 정진용,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 32: 186-191.
  27. 김성단, 정선옥, 김복순, 윤은선, 장민수, 박영애, 이용철, 채영주, 김민영. 유통 환(丸)제품의 중금속 함량 및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0: 39: 1039-1048.
  28. 정일형, 김종화, 전종섭, 조상훈, 박신희, 조현례, 김영숙. 한약 및 한약제제의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0: 25: 232-237.
  29.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 소화기계 약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2008: 24: 111-119.
  30.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 감기약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2008: 23: 51-58.
  31.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전탕 전과 후의 한약재 및 처방에 포함된 위해물질의 농도변화 - 다빈도 한약처방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2009: 4: 13-20.
  32. 정삼주, 강성태, 한창호, 김수진, 고숙경, 김윤희, 김유경, 김복순, 최병현. 한약재의 약용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탕액에서의 이행률 조사.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2010: 25: 402-409.
  33. 이선동, 박해모, 이장천, 국윤범, "한약재에 포함된 금속의 전탕 전과후의 농도변화연구 - 첩약/다린 찌꺼기/탕약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3: 24(2): 59-65.
  34. 편집자. 정담. 한의학대사전. 2001.
  35. 김정훈, 서창섭, 전우영, 신현규. 탕 방법 및 전탕 시간에 따른 십전대보탕 전탕액의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 25: 108-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