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Plans for Private Security Guard Certification System -mainly on application prerequisites and partially exemptible qualifications-

신변보호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방안 - 응시자격 및 자격검정 일부면제를 중심으로 -

  • 강동범 (건양대학교/국방경찰행정학부) ;
  • 김상진 (용인대학교/항공보안학과)
  • Received : 2015.09.29
  • Accepted : 2015.10.28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Private security guard certification system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certification in 12. 2012 after it was first given in 2006 as a civil certification and then became a national test in 2013. Thinking it short of regulations on some of exemptible requirements as well as test-taking age limit due to the certification's specificity, the current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First, in taking the test, only the bottom age limit is given with no top age limit, so a regulation on its top age limit needs to be newly made so that it can select those substantially able to protect persons. Second, it can expand some of its exemptible requirements to not only police civil officials, private security guard civil officials but also military civil officials and college graduates who have taken all the courses for its primary test and have career in private security guard. Third, certain validity period can be set by standard of the date when the certification test application is accepted after retirement from related occupations so that they can maximally exert their ability in actual works. Fourth, the exemptible courses of the test must be limited to the primary test only while its hands-on test must not be exempted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e ability for actual personal protection. In this manner, it's necessary that the personal protection certification system, as a national certificate,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to keep abreast with the growing civil protection industry.

신변보호사 자격검정제도는 2006년 민간자격으로 처음 시행되어 오다가 2012년 12월 국가공인자격으로 인정받게 되면서 2013년도부터 국가공인자격시험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자격의 특수성상 자격검정 응시상한연령과 일부면제요건의 규정이 미흡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자가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피력하고자 한다. 첫째, 자격검정 응시에 있어 최저응시 연령만 제시하고 있을 뿐 상한응시연령의 제한은 없는 실정이므로 실질적인 신변보호활동이 가능한 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상한응시연령 제한의 규정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둘째, 경찰공무원, 경호공무원 뿐만 아니라 군인공무원과 대학에서 신변보호사 1차 학과시험과목을 모두 이수하고 경비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에 대해서도 자격검정 일부면제를 확대하는 방안이다. 셋째, 경력인정 자 조건을 관련 직종 퇴직 후부터 자격검정 접수일 기준으로 일정유효기간을 규정하여 경력자들이 실무에 있어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넷째, 신변보호사 자격검정 면제과목은 1차 학과시험에 한하고, 신변보호실무능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2차 실기시험은 면제하지 않는 방안이다. 이와 같이 국가공인자격으로서 민간경비산업의 부흥에 발맞추기 위해 신변보호사 자격검정제도를 신중히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원.서진석, "신변보호경비원의 자질검증 강화를 위한 신변보호사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한국민간경비학회 12(1): 30, 2013.
  2. 이상훈, "신변보호사 자격시험의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한국융합보안학회 14(6): 36, 2014.
  3. 안황권, "신변보호사 자격제도의 필요성과 과제", 정보.보안 논문지, 한국융합보안학회 11(2): 26, 2011.
  4. 박기범, "신변보호업자의 신변보호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한국민간경비학회 13(3); 135, 2014.
  5. 김일곤, "신변보호사 자격취득 학생들의 자격활용 인식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한국융합보안학회 13(2): 47, 2013.
  6. 박기범, "신변보호업자의 신변보호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한국민간경비학회 13(3); 138-141, 2014.
  7. 2012. 5. 31. 2010헌마278 참조.